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와 관세 협상을 벌이고 있는 일본 정부가 보유 중인 미국 국채를 양국 관세 협상 카드로 활용할 수도 있다는 입장을 밝혀 주목된다.
가토 가쓰노부 일본 재무상은 2일 TV 프로그램에 출연해 ‘일본이 보유한 미국 국채를 쉽게 팔지 않을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할 방법이 있느냐’는 질문에 “(협상) 카드로 존재한다”고 밝혔다. 이어 “(일본은 미 국채를) 미국을 지원하기 위해 가진 것이 아니라 환율 개입을 위해 유동성을 고려해 운용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블룸버그통신은 “세계에서 미국 국채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일본이 미 국채를 카드로 언급했다는 사실 자체가 미국에 위협적일 수 있다”고 짚었다. 3월 말 기준 일본의 외환보유액은 1조 2725억 달러 규모다. 일본이 미국 국채를 대거 매도할 경우 미 국채 가격이 하락해 미국 정부의 이자 부담이 급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 1일(현지 시간) 미 워싱턴DC에서 미국과 2차 관세 협상을 벌인 일본 측 대표 아카자와 료세이 경제재생상은 “무역 확대와 비관세 조치, 경제 안전보장 협력 등에 대해 (양국이) 중점적으로 논의했다”고 밝혔다. 일본 언론에 따르면 이 과정에서 미국 측이 자동차와 철강·알루미늄 관세 인하에 부정적인 내용의 합의 초안을 제시해 일본이 강하게 반발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미국 정부와 관세 협상을 진행 중인 유럽연합(EU)은 500억 유로(약 81조 원) 규모의 미국산 상품을 추가로 구매하겠다는 제안을 내놓았다. 마로시 셰프초비치 EU 집행위원회 무역 담당 집행위원은 1일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은 EU에서 상품 부문에서는 무역적자를 보고 있지만 서비스 부문에서는 흑자를 내고 있다”며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미국의 대(對)EU 무역적자는 500억 유로 규모”라면서 그만큼의 미국산 상품을 추가 구매하겠다는 의향을 내비쳤다. EU는 압박 카드도 꺼내 들고 있다. 지난달 EU 집행위는 독점적 지배력을 남용했다는 이유로 미국 애플과 메타에 총 5억 유로 규모의 과징금을 부과했는데 이를 관세 협상에서 지렛대로 활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