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정부가 수도 런던에 집중된 공공부문 일자리를 전국으로 분산하는 대대적인 개편에 착수한다. 2032년까지 런던 내 정부 사무소 11곳을 폐쇄하고, 전국 13개 지역에 '범정부 지역 허브'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14일(현지시간) BBC 등에 따르면, 새 허브는 맨체스터(디지털·인공지능), 애버딘(에너지), 요크, 버밍엄, 글래스고, 카디프, 벨파스트 등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구성되며, 지방정부와의 협업을 강화하고 지역 중심의 정책결정 구조를 목표로 한다.
영국 정부는 전체 공무원 수를 현재 9만5000명에서 8만3000명으로 줄인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연간 9400만 파운드(약 1770억 원) 규모의 예산 절감을 기대하고 있다. 다만 감축되는 1만2000개의 일자리 중 지방으로 이전되는 정확한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현지 언론은 수천 개에서 최대 1만 개까지로 전망하고 있다.
영국 공무원 수는 2016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해 지난해 말 기준 51만 명에 달한다. 지방 공무원 비중도 크지만 고위직 대부분은 여전히 런던 화이트홀에 집중돼 있는 실정이다. 영국 정부는 이번 계획으로 런던 화이트홀 청사에 집중된 의사 결정 체계가 분산돼 2030년까지 고위 공무원의 50%가 지방에 분포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맥패든 장관은 "더 많은 의사 결정을 화이트홀 밖으로 빼내 영국 전역의 지역사회에 가깝게 옮길 것"이라며 "정부 일자리가 전국의 경제 성장을 뒷받침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공무원 노조인 프로스펙트의 마이크 클랜시 사무총장은 “지방 공공조직 강화를 환영한다”면서도 “이전에도 유사한 계획이 실현되지 않은 전례가 있다. 이번에는 노조와의 구체적 협의가 필수”라고 지적했다.
전임 보수당 정부 역시 집권 당시 지역균형발전을 명분으로 런던 밖 공무원 일자리 1만8천개를 배치하는 계획을 추진한 바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