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는 가운데 우리나라 40세 이상 성인들은 노후 돌봄에 대해 가족보다 요양보호사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재단법인 돌봄과미래가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39%가 자신의 노후 돌봄을 요양보호사에게 맡길 것으로 예상했다.
돌봄과미래는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40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돌봄 인식과 수요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배우자에게 돌봄을 기대한다는 응답은 35%로 나타났으며, 자력으로 돌보겠다는 응답은 21%였다. 반면 자녀가 돌봐줄 것이라는 기대는 4%에 그쳐 전통적인 가족 돌봄 가치관이 크게 변화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배우자 돌봄 기대는 성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남성의 49%가 아내의 돌봄을 기대한 반면, 여성은 22%만이 남편의 돌봄을 기대해 성별 간 인식 격차가 두 배 이상 벌어졌다.
고령화 사회의 심각한 문제인 '고독사' 우려도 높았다. 응답자의 58%는 고독사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으며, 특히 미혼자는 87%가 고독사 위험을 느끼고 있었다. 이웃과의 교류도 제한적이어서 '자주 교류하는 이웃이 있다'는 응답은 20%에 불과했으며, 긴급 상황 시 가족 외에 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없다는 응답이 40%에 달했다.
선호하는 돌봄 환경으로는 현 거주지에서의 돌봄을 원하는 비율이 압도적이었다. '현재 살고 있는 집'(47%)과 '살던 지역 내 돌봄받기 좋은 집'(32%)을 선호한다는 응답이 약 80%를 차지했다. 임종 장소도 '자택'(48%)을 가장 선호했지만, 실제 예상 임종 장소는 종합병원(29%)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요양시설에 대한 인식은 양면적이었다. 58%가 요양시설에 긍정적 평가를 내렸지만, 53%는 '학대가 빈번하다'는 우려를 표했다. 노인돌봄 서비스의 질에 대해서는 64%가 충분하지 않다고 평가했으며, 가장 필요한 서비스로는 '건강관리·의료'(61%)를, 우선 갖춰야 할 서비스로는 '가정방문 돌봄'(71%)을 꼽았다.
노인돌봄 정책의 최우선 과제로는 '자부담 경감'(42%)이 지목됐으며, 85%가 노인돌봄의 주체로 '국가'를 선택했다. 노인돌봄을 위한 세금 증액에도 85%가 동의했다. 의료 인프라 개선 필요성도 제기됐는데, 41%가 지역 내 병원 이용에 불편을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연명의료에 대해서는 93%가 원치 않는다는 의견을 밝혔으며, 임종 결정은 '스스로'와 '가족과 상의'가 각각 44%로 동일한 비율을 보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