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전국연합학력평가에서 과학탐구 대신 사회탐구를 선택한 고3 수험생이 지난해보다 10만 명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주요 대학에서 과탐을 자연계 응시 지정 과목에서 폐지한 영향 등으로 과탐을 선택하던 학생들이 사탐으로 선회하는 이른바 ‘사탐런’ 현상이 심화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수학능력시험에서도 사탐 과목을 선택하는 학생들이 급증하면서 입시 불확실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3일 종로학원이 이달 8일 실시된 경기도교육청 주관 2026학년도 고3 학평을 분석한 결과 사탐 응시 학생은 43만 4155명으로 지난해 5월 학평(33만 3448명) 대비 10만 707명(30.2%) 늘었다. 사탐 응시 비율은 66.6%로 2025학년도 5월 학평(55.9%)은 물론 올 3월 치러진 학평(64.6%)보다도 증가했다.
과목별 응시 인원은 사회문화 4만 5952명(44.7%), 생활과윤리 2만 6114명(24.9%), 세계지리 8172명(38.6%), 윤리와사상 6748명(24.4%), 한국지리 5596명(22.2%)이었다.
사탐 응시자가 늘면서 과탐 응시자는 지난해보다 4만 4810명(17.1%)이나 줄었다. 과탐 응시 인원은 △2024학년도 27만 832명 △2025학년도 26만 2533명 △2026학년도 21만 7723명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사탐 응시 학생도 일부 의과대학과 자연계 학과 지원이 가능하도록 대학들이 문턱을 낮추면서 사탐 응시 비율이 높아졌다.
실제 고려대·성균관대·아주대·건국대·경북대·부산대·이화여대·한양대 의대 등은 올해 입시부터 수시 수능최저학력기준으로 사탐을 인정하기로 했고 가톨릭대·고려대·부산대·경북대는 정시에서도 사탐 응시생에게 지원 자격을 주기로 했다.
전문가들은 N수생들이 참여하는 6월 모평부터 사탐런 현상이 더 두드러질 수 있는 만큼 올 수능에서 사탐·과탐 점수 예측이 매우 어려워질 가능성이 크다고 입을 모은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응시 인원이 늘어나는 과목에서는 수능 점수 고득점 학생이 많아질 수 있고 반대로 과탐 등 응시 인원이 크게 줄어드는 과목에서는 수능 등급, 백분위 고득점 확보가 매우 어려워질 수 있다”며 “이들 과목에 응시하는 수험생들로서는 상당히 불안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짚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