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원자력, 자동차, 반도체 등 많은 부분들이 늘 조금씩 늦었다. 그러나 서울시와 정부, 우리 모두가 함께 협력한다면 빠른 시일 내 뒤쳐진 인공지능(AI)산업을 따라 잡을 것으로 확신한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27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ALL on AI:The Future is Now’이란 주제로 열린 ‘서울 포럼 2025’ 개막식에서 서울시가 글로벌 AI 리딩 도시가 될 수 있도록 투자를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오 시장은 “서울포럼은 16년 간 한국경제의 구조적인 전환을 헤쳐나갈 방향과 지속가능한 성장 비전을 제시해 왔다”며 “현재 기술패권 시대에서 AI 산업이 국가와 도시의 새 판을 짜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앞서 서울시는 2월 ‘AI SEOUL 2025’에서 AI산업 육성 7대 전략을 발표했다. 이 전략의 핵심은 △인재 양성 △인프라 조성 △투자 확대 △산업간 융복합 △글로벌화 △시민확산 △행정혁신으로 요약된다.
서울시는 우선 청년취업사관학교 인재 4000명·대학 인재 6000명을 포함, 연간 AI 인재 1만 명을 양성해 AI 인력 수요에 대응할 계획이다. 오 시장은 “25개 자치구 중 20개 자치구에 청년취업사관학교를 만들었다”며 “그동안 디지털 인재 양성에 초점을 뒀다면 이제는 AI 중급 인재를 매년 4000명 씩 양성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모든 사업은 재원이 문제”라며 내년까지 AI에 특화된 펀드를 5000억 원 규모로 조성하겠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기존 6개 분야였던 서울비전 2030펀드 분야에 AI를 추가하고 AI 펀드를 데이터, 알고리즘, 컴퓨팅 관련 기업 등에 투자할 계획이다.
시 차원에서 클러스트 조성도 약속했다. 오 시장은 “지난해 양재에 AI 허브를 오픈했지만, 만들고 보니 너무 협소하다는 후회가 들었다”며 “인근 양재 AI 혁신지구에는 연면적은 27만㎡(약 9만 평)의 AI 테크시티를 새롭게 조성해 2028년까지 완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