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80세 이상 고령자를 대상으로 ‘생활돌봄서비스’에 나선다.
LH는 14일부터 LH 임대주택에 홀로 거주하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말벗, 건강 상태·안전 점검, 복지 정보 제공·연계 등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시행한다고 10일 밝혔다. LH는 2022년부터 한국노인인력개발원과 협력해 국민·매입임대주택을 중심으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현재까지 약 6000명의 고령자에게 이 같은 지원을 펼쳤다.
올해부터는 서비스 제공 범위를 전세임대주택까지 확대해 주거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나선다. 올해 총 350명의 ‘생활돌보미’를 권역별로 배치하고, 전세임대주택 500여 가구를 포함한 고령자 세대 3500가구를 대상으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생활돌보미’는 LH 입주민 등을 대상으로 노인 돌보미 활동 등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만 60세 이상의 LH 입주민을 우선 선발했고, 이들은 돌봄·안전·LH 주택 정보 등 관련 교육을 이수해 연말까지 활동할 예정이다. LH는 향후 운영 성과와 지역별 수요 등을 고려해 서비스 권역도 확대할 계획이다.
LH 관계자는 “생활돌봄 서비스 기능을 강화하여 고령자의 자립적 삶과 사회참여를 돕는 통합적 주거 서비스 모델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며 “초고령화로 고령자 돌봄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높아지는 만큼 맞춤형 주거 서비스 제공 확대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