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에 반대해 집단 휴학했던 의대생들이 17개월 만에 전원 복귀를 선언하면서 수련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의 복귀 여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13일 의료계에 따르면 전공의 단체인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대전협 비대위)는 오는 14일 오후 5시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과 비공개 간담회를 열고 전공의 복귀 및 수련환경 개선 등 의료 정상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날 간담회에는 박주민 보건복지위원장과 더불어민주당 소속 복지위 위원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전공의 측에서는 한성존 대전협 비대위원장을 비롯해 비대위원들이 참석한다.
앞서 박 위원장과 한 위원장은 지난달 28일 서울 모처에서 만나 장기화된 의정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전공의 수련 재개율을 높여야 한다는 데 공감대를 이룬 것으로 알려졌다.
의정 갈등이 1년 반 가까이 이어지며 사직한 전공의들 사이에서는 "이젠 돌아가고 싶다"며 9월 수련 병원 복귀를 희망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달 말부터 올해 하반기 전공의 모집이 시작되는 것도 복귀 흐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서울의 주요 대학병원에서 사직한 A 전공의는 "새 정부 들어 대전협 지도부가 새롭게 꾸려지고, 정부·국회와 소통에 나서면서 사태 해결에 속도가 붙고 있는 듯하다"고 말했다.
다만 지방 수련병원에서 내과·외과·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 등 필수의료 분야에서 일하다 사직한 전공의들의 경우 의정 간 해법이 뚜렷하지 않으면 복귀율이 낮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대전협 비대위가 지난 2~5일 전국 사직 전공의 845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수련을 재개할 생각이 없다'고 답한 전공의 중 72.1%는 필수의료 전공자(내과, 외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신경외과, 신경과, 응급의학과, 흉부외과 등)로 조사됐다.
지방 대학병원의 한 C 교수는 "필수의료 분야 저연차 전공의들의 미복귀율이 높을 것으로 보인다"며 "기피 요인 해소 여부에 따라 복귀율이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필수의료 분야는 높은 업무 강도에 비해 고질적인 저수가 구조, 의료소송 부담 등으로 위기가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대전협 비대위는 전공의 복귀를 위한 대정부 요구안을 우선순위별로 조율 중이다. 요구사항을 정리하면, 정부와의 협상 타결 시점을 앞당길 수 있다는 기대가 나온다.
대전협은 그간 △필수의료 패키지 및 의대 정원 2000명 증원 백지화 △의사 수급추계 기구 설치 △수련병원 전문의 인력 확대 △불가항력 의료사고 책임 완화 △수련환경 개선 △부당한 명령 철회 및 사과 △업무개시명령 폐지 등 7대 요구안을 고수해왔다.
하지만 최근 설문조사를 통해 복귀 조건의 우선순위를 파악하며 정부와의 협상력을 끌어올리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복귀 조건과 정부에 요구할 1순위 모두 ‘윤석열 정부의 필수의료 정책 및 의료개혁 방안 재검토’가 76.4%로 1위를 기록했다. 이 외에도 군 복무 중 전공의의 수련 연속성 보장, 의료사고 법적 책임 완화, 수련환경 개선 등이 주요 요구사항으로 꼽혔다.
대전협 비대위는 오는 19일 총회를 열고 공식 요구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