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태평양고기압과 티베트고기압이 동시에 한반도를 덮는 현상이 다시 발생하면서 무더위가 본격화하고 있다.
24일 기상청에 따르면 현재 고도 약 5㎞의 대기 중상층은 고온다습한 북태평양고기압이, 그 위에는 고온건조한 티베트고기압이 차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지상에서 상승한 열이 대기 상층에서 빠져나가지 못하고 축적되며 고온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2개의 뜨거운 고기압이 한반도 상공에 자리하면서 열이 축적되기만 하고 빠져나가지 못하는 상태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대기 하층에도 고기압이 자리하면서 하늘이 맑아지고 강한 일사가 더위를 더욱 부추기고 있다. 기상청은 "사람에 비유하면 한여름에 이불을 두 겹 덮고 난로까지 쬐는 격"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낮 최고기온은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32∼36도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습도까지 높아지면서 경기 내륙, 강원 동해안, 강원 남부 산지, 충남, 남부지방은 체감온도가 35도 안팎, 그 밖의 지역은 33도 안팎으로 예상된다.
특히 서울은 금요일인 25일 37도, 토요일인 26일 38도까지 오를 전망이다. 남동풍이 백두대간을 넘어오면서 건조해진 후 지면에서 가열돼 기온 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이에 따라 산맥 서쪽 지역을 중심으로 더위가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기온은 적어도 다음 달 초까지 평년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햇빛과 대기오염물질이 반응해 생성되는 오존 농도는 강원 영동과 제주를 제외한 전국에서 '나쁨' 수준까지 오를 것으로 보인다. 오존은 호흡기 질환자와 노약자에게 악영향을 줄 수 있어 외출 자제를 권고하고 있다.
해안 지역도 주의가 필요하다. 제주해안은 이날 밤부터, 전남·경남 해안은 25일부터 달 인력의 영향으로 바닷물 높이가 상승하고 강한 너울이 유입될 것으로 보인다. 해안도로와 방파제를 넘는 파도가 밀려올 수 있어 안전사고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대부분 해상에는 해무가 낄 것으로 예보됐다. 일부 도서 지역은 가시거리가 200m 미만으로 떨어질 수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