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066570)가 미국 관세에 대응해 멕시코에서 9월부터 처음 세탁기 생산에 나서기로 했다. 관세 부담에 중국과 경쟁 격화, 물류비 증가 등에 대응해 가전 등 전략 제품군의 가격 인상도 고려한다.
김이권 LG전자 HS본부 전무는 2분기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보편관세 상황에서 현재 생산지의 공급 체계를 유지하되 미국의 권역별로 제품 공급지를 운영할 예정”이라며 “세탁기는 9월부터 멕시코 멕시칼리 지역에 생산지를 추가 운영해 관세 대응에 있어 유연성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LG전자가 멕시코에서 세탁기를 생산하는 건 처음이다. 멕시코 몬테레이에 가전 공장이 있지만 이곳은 주방 가전과 냉장고를 생산 중이다. 앞서 LG전자는 멕시칼리에서 TV 공장을 운영하다 올 초 이를 레이노사로 이전해 생산지를 통합했는데 이 공장을 세탁기 생산라인으로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멕시칼리는 멕시코 국경과 인접해 미국 남서부 수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물류비 절감과 납기 단축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김 전무는 “국가별 관세 협상이 완료되고 8월 1일 자로 상호관세가 발효되면 미국과 멕시코에서 공급을 확대해 대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미국 관세가 사업에 미치는 영향은 2분기보다 하반기에 더 클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제품 가격 인상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김 전무는 “하반기에는 철강 관세 50% 및 상호관세에 따른 제품 원가 상승으로 시장가격의 불확실성이 가중되고 미국 정부의 관세정책 변동성과 소비심리 위축에 대한 우려가 지속돼 가전 수요 전망이 밝지는 않다”며 “가격 인상은 미국의 관세정책 변화 동향 등 여러 관점을 충분히 고려해 유통 업체와 협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경영 환경의 불확실성은 크지만 하반기 ‘기업간거래(B2B)’ 사업을 중심으로 LG전자는 반등에 나설 계획이다. 2분기 전장과 냉난방 공조, 부품 솔루션, 스마트팩토리 등 B2B 매출액은 6조 2000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3% 성장했다. 신사업으로 분류되는 가전 구독 매출도 6300억 원으로 18% 증가했다. 물류비 부담 역시 하반기에는 다소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LG전자는 인공지능(AI) 투자 증가세를 타고 데이터센터 칠러 사업이 성장세를 지속하는 것도 하반기 실적 개선의 동력으로 기대했다. 신동훈 ES본부 상무는 “데이터센터 칠러의 수주 실적이 지난해 대비 3배 이상으로 성장하고 있다”며 “글로벌 빅테크 기업 중 한 곳과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협업을 위해 정기 협의체를 구성해 구체적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