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이 1만 4720가구로 집계됐다.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은 282가구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나 공급 감소에 대한 우려가 지속될 전망이다.
28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8월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7월의 1만 7081가구에서 14% 감소한 1만 4720가구다. 올해 월 평균 입주 물량 2만 90가구보다 적은 규모다.
월별 수도권 아파트 입주 물량은 6월 1만 3977가구에서 7월 1만 272가구, 8월 8985가구로 2개월 연속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월에는 5891가구에 그쳐 입주 물량 감소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수도권에서는 경기의 아파트 입주 물량이 7360가구, 인천 1343가구, 서울 282가구다. 경기에서는 평택, 고양, 화성, 파주 등 택지지구를 중심으로 새 아파트 공급이 이뤄진다. 평택화양휴먼빌퍼스트시티(1468가구), 고덕자이센트로(569가구), 더샵일산퍼스트월드 1·2단지(1603가구), 화성 아테라파밀리에(640가구), 화성 숨마데시앙(616가구) 등이 입주를 앞두고 있다. 인천은 계양구 제일풍경채위너스카이 A·B블록(1343가구) 입주가 예정돼 있다.
서울은 강남구 대치동의 디에이치대치에델루이(282가구) 단지 한 곳만 입주한다. 7월 라체르보푸르지오써밋(958가구), 청계SKVIEW(396가구), 천왕역모아엘가트레뷰(440가구)까지 총 1794가구에서 85% 감소한다. 지방에서는 충남(1802가구), 대구(1300가구), 부산(1014가구), 강원(456가구) 등의 5735가구 입주가 예정돼 있다.
직방은 이 같은 입주 물량 감소세와 함께 수도권·규제지역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하는 정부의 6·27 대출 규제가 아파트 입주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진단했다. 직방 관계자는 “일부 수분양자는 자금 여력이 있는 세입자 만을 받아들이거나 전세 대신 월세로 전환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며 “입주율 저하와 함께 전세 시장 축소, 월세 전환 흐름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