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가평군이 집중호우로 심각한 피해가 발생한 조종면 하천변 근생건물을 선제적으로 철거해 추가 붕괴 및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신속 대응에 나섰다. 군은 호우예비특보가 내려진 지난 3일 휴일임에도 자체 비상근무 체제를 가동하고 실시간으로 현장 점검을 하는 등 특보 해제 시점까지 긴장감을 늦추지 않고 철저한 대비태세를 갖췄다.
4일 가평군에 따르면 지난달 20일 새벽 집중호우로 조종면 현리 소재 건축물이 하천 방향으로 전파되면서 공공 안전에 중대한 위협을 초래했다. 해당 건물은 1층이 음식점과 사무실, 2층은 사무소로 등록돼 있었으나 실제로는 다가구 주거용으로 사용 중이었다.
군은 구조물의 추가 붕괴 가능성과 하천 유실에 따른 2차 피해를 우려해, 사유재산임에도 불구하고 수해 응급복구비를 투입해 긴급 철거에 나섰다. 철거를 위한 행정 절차는 7월 22일부터 본격화됐으며, 건축주 및 세입자와의 협의는 물론 침수피해 신고를 유도해 보상 누락 방지에도 힘썼다.
7월 25일부터 시작된 철거작업은 가평군 건축과 직원 2명을 현장에 상시 배치해 안전을 확보하고 주말 없이 진행해 8월 1일 철거를 완료했다. 또한 건축물 내 분실된 피해 주민의 귀중품에 대한 수색도 함께 병행해 회수에 성공했다.
이번 작업에는 포클레인 12대, 덤프 트럭 20, 트레일러 2대 등 총 34대의 중장비와 인력 16명, 공무원 14명이 투입됐다.
가평군 관계자는 “군민의 생명과 재산 보호를 최우선으로, 사유재산이라 하더라도 추가 피해가 우려되는 시설에 대해서는 신속히 대응할 수밖에 없었다”며 “앞으로도 재난 현장에서는 공무원이 선제적으로 움직이며 2차 피해 방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군은 호우예비특보가 내려진 3~4일 하천변과 계곡, 산사태 우려 및 야영객 밀집 지역에 공무원들을 투입해 현장 예찰과 대피 유도, 철수 여부까지 확인했다.
서태원 가평군수는 “이번 호우예비특보는 실제 피해가 없었다는 결과보다, 비상 상황을 가정하고 상황 종료시까지 모든 행정력을 투입해 대응에 나섰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지난 7월 집중호우 피해의 아픈 경험을 바탕으로, 어떤 상황에도 철저히 대비하는 체계를 유지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