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대표 후보자들이 10일 첫 방송 토론회에서 ‘친길(친전한길) 논란’을 두고 격렬하게 대립했다. 장동혁 후보가 안철수 후보에게 “저를 왜 극우라고 하는지 밝히라”고 하자 안 후보는 “전 씨(전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와 함께하는 모습들에 대한 경고를 한 것”이라고 쏘아붙였다. 조경태 후보는 윤석열 전 대통령을 ‘만고의 역적’이라며 전 씨의 유튜브 채널에 출연한 김문수 후보를 몰아세웠고 김 후보는 “계엄으로 다친 사람도 없고 계엄은 대통령의 비상 대권”이라며 반박했다.
이날 방송 토론회에서는 찬탄(탄핵 찬성) 주자인 안철수·조경태 후보와 반탄(탄핵 반대) 후보인 김문수·장동혁 후보가 계엄과 탄핵과 관련해 날 선 질문을 주고받았다. 특히 ‘윤 어게인’ ‘부정선거 음모론’ 등 윤 전 대통령을 옹호하는 전 씨와 관련한 공방이 많았다. 안 후보와 조 후보는 전 씨 등 비상계엄을 옹호하는 세력을 극우로 규정하며 이에 대한 장 후보와 김 후보의 입장을 물었다.
이에 장 후보는 “반국가세력 척결을 위해 윤 어게인의 주장은 당 대표가 돼도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입장을 밝혔다. 김 후보는 “무조건 잘라내고 징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런 가운데 국민의힘은 전당대회 합동 연설회에서 당내 갈등을 선동한 보수 유튜버 전 씨에 대해 징계 절차에 착수했다.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8일 전 씨의 ‘난동 사태’ 직후 전대 일정 출입을 금지한 데 이어 9일에는 긴급 비상대책위원회의를 열고 중앙당 윤리위원회 차원의 징계 절차 개시를 결정했다. 앞서 서울시당 윤리위가 전 씨의 입당 논란과 관련해 과거 발언과 행보가 당의 정강·정책에 부합하는지 조사하고 있었으나 중앙당 윤리위가 사건을 이첩받아 이번 난동 사태까지 함께 다루게 됐다.
신속한 윤리위 소집을 요구한 송 비대위원장은 “더 이상 전당대회의 혼란이 없도록 조속히 결론을 내려달라”고 당부했다. 만약 윤리위가 전 씨의 난동 사태를 해당(害黨) 행위로 판단하면 △제명 △탈당 권유 △당원권 정지 △경고 가운데 징계 수위를 의결할 예정이다.
당원권 정지 이상의 중징계를 받더라도 ‘전한길뉴스’ 발행인인 전 씨가 취재를 명분으로 향후 전대 일정 참석을 강행하면 연설회장 바깥에서 극한 충돌이 계속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국민의힘은 △12일 부산·울산·경남 △13일 충청·호남 △14일 수도권·강원·제주 등 전국 순회 합동 연설회가 줄줄이 예정돼 있다. 이에 전대 선거관리위원회는 11일 회의를 열고 재발 방지책을 논의하는 한편 전 씨 등을 향해 갈등 유발을 자제해달라고 촉구할 방침이다.
전 씨가 이번 전대의 모든 이슈를 빨아들이는 ‘블랙홀’이 되면서 당 쇄신 방안을 둘러싼 비전 경쟁보다 친길과 배신자 프레임만 남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당 안팎에서 전당대회가 아니라 ‘전한길당대회’라는 자조와 비아냥거림이 나온다”며 “앞으로는 전 씨에 대한 징계가 적절한지를 두고 후보들이 서로 얼굴을 붉힐 것”이라고 내다봤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