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부는 광복 80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오는 미국과 브라질, 캐나다 안장 독립유공자 6명에 대한 유해 봉환식을 오는 13일 오전 국립서울현충원 현충관에서 거행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번에 고국으로 돌아오는 유공자는 문양목(1995년 독립장)·김덕윤(1990년 애국장)·김기주(1990년 애족장)·한응규(1990년 애족장)·임창모(2019년 애족장)·김재은(2002년 애족장) 지사다.
‘조국을 향한 발걸음, 끝나지 않은 길’을 주제로 한 이번 봉환식에는 독립유공자 유족과 관계자 등 300여 명이 참석한다.
국방부 의장병에 의해 운구된 김덕윤 지사 등 독립유공자 5명의 유해는 같은 날 오후 대전현충원장 주관으로 안장식을 갖고 영면에 들어간다.
문양목 지사의 유해는 봉환식이 끝나면 출생지인 충남 태안 생가터 내 추모 사당에서 추모제를 거행한 후 대전현충원으로 봉송, 안장된다.
유해 봉환 독립유공자 중 문양목·김덕윤·김기주 지사는 배우자와 함께 안장될 예정이다.
독립유공자 6명의 유해는 유족들과 함께 오는 12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들어온다. 권오을 보훈부 장관은 당일 공항에서 유해를 직접 영접한다.
권 장관은 “여섯 분의 독립유공자를 비롯한 선열들의 숭고한 독립 정신을 알려 나가는 것은 물론 국외 안장 독립유공자분들의 유해를 마지막 한 분까지 고국으로 모시는데 성심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번에 모셔 오는 여섯 분이 더해져 현재까지 총 155위의 독립유공자 유해가 국내로 봉환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