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와 AMD가 대(對)중국 반도체 수출 허가 조건으로 중국 매출의 15%를 미국 정부에 지급하기로 합의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다.
10일(현지 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사안에 정통한 소식통들을 인용해 엔비이아와 AMD는 중국 시장 수출 허가를 받는 조건으로 미 정부와 이 같은 합의에 도달했다고 보도했다. 미 정부 관계자는 “엔비디아의 경우 중국 내 H20 칩 판매 수익의 15%를, AMD는 MI308 칩 수익의 15%를 제공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다만 미 정부는 해당 자금의 사용처를 아직 결정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FT는 미 상무부가 엔비디아에 중국 수출 허가를 발급하기 시작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6일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 수출 허가 문제를 논의한 지 이틀 만에 수출 재개가 본격화한 것이다. AMD 역시 중국향 반도체에 대한 허가 발급이 시작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 엔비디아가 중국 시장을 위해 성능을 낮춰 설계한 H20 칩의 수출을 금지했지만 지난달 이를 번복하고 재개를 허용했다. 하지만 미 상무부의 허가 발급이 지연되면서 최근까지 중국에 대한 판매는 이뤄지지 않았다. 다만 황 CEO가 최근 트럼프 대통령에 직접 문제를 제기한 뒤 당국이 허가를 내주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진다.
미국 기업이 수출 허가를 받기 위해 매출 일부를 정부에 지급하는 것은 전례가 없는 일이다. 다만 관세를 피하려면 미국에 투자해야 한다고 요구해온 트럼프 행정부의 기조와 맥이 닿아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번스타인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올해 중국에 약 150만 개의 H20 칩을 판매해 약 230억 달러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수출통제를 완화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중국 측은 첨단 AI 칩 제조에 필수적인 고대역폭메모리(HBM) 칩에 대한 규제 완화를 요구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