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귀농인이 늘고 있는 가운데, 농림축산식품부는 국내 농업기계 제조업체 TYM(대표 김희용·김도훈)와 협업해 귀농 청년에게 트랙터 16대를 지원한다고 10일 밝혔다. 해당 트랙터는 대당 약 3000만원 상당으로, 총 5억원가량을 지원한다.
농식품부는 귀농 청년 총 16명을 선정해 각 사람에게 '55마력 논 캐빈형 트랙터' 1대씩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 트랙터는 과수와 하우스, 밭작물에 활용도가 높다.
농식품부는 귀농 청년을 대상으로 다음달 12일까지 TYM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을 받을 계획이며, 서류 심사와 면접을 거쳐 오는 10월 최종 선발된다. 귀농 1년 이상의 농업경영체 등록된 만 40세 미만 청년농에 한해 신청 가능하다.
논에 비해 기계화율이 낮은 밭농업 종사자의 경우 가산점을 받으며, 귀농의 진정성을 판단할 수 있는 귀농배경, 귀농교육 이수 여부 등도 종합 평가된다.
TYM은 귀농 청년의 정착을 위한 트랙터 지원을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자체적으로 추진해 4년간 총 54명에게 지원해왔다. 올해는 정부와 협업해 청년농 지원, 농작업 기계화 등 정책과 부합하도록 지원하기로 한 것이다.
김정욱 농식품부 농식품혁신정책관은 "이번 트랙터 지원을 통해 귀농한 청년들이 영농활동을 하는데 작은 힘이 되길 바란다"며 "이번 협업을 시작으로 민간과의 다양한 방식의 협업을 통해 농업과 연관산업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자세한 내용은 농식품부가 운영하는 청년농 통합플랫폼인 '탄탄대로‘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 같은 청년농 지원 정책의 영향으로 귀촌 인구 중 30대 이하 청년 비중이 13%를 넘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해양수산부,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귀농어·귀촌인 통계'에 따르면, 귀촌가구는 31만8658가구로 전년보다 4.0% 증가했다. 귀촌인구도 42만2789명으로 전년보다 5.7% 늘었다.
이 중 30대가 가장 큰 폭으로(8.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30대가 23.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20대 이하도 높은 비중(20.2%)을 보였다.
귀촌 인구가 많은 상위 5개 지역은 경기 화성(2만7116명), 충남 아산(1만9085명), 경기 남양주(1만5314명), 충북 청주(1만4101명), 경북 포항(1만2666명) 순으로 조사됐다.
귀촌 전 거주지는 경기가 26.1%(11만280명)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서울(12.8%), 경북(7.7%) 순이었으며.귀촌 사유는 직업(32.0%), 주택(26.6%), 가족(24.2%) 순으로 파악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