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전 대통령이 내란 특검에 의해 재구속된 뒤 일부 지지자들이 대량의 편지를 보내면서 교정 당국이 곤혹을 치르고 있다.
18일 국민일보에 따르면, 법무부가 전현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서 윤 전 대통령이 지난달 10일부터 이달 1일까지 23일간 받은 편지는 총 882통으로 집계됐다. 구속 이후 20여일 만에 900통 가까운 편지가 몰린 셈이다.
이는 일반 수용자와 비교해 압도적으로 많은 수치다. 같은 기간 서울구치소 전체 수용자가 받은 편지는 1만9655건이었다. 지난달 10일 기준 수용 인원이 3249명임을 감안하면 1인당 평균 편지 수신 건수는 6건에 불과하다. 법무부 관계자는 “윤 전 대통령 수용으로 인해 최근 서신 수신 건수가 증가한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전담 인력이 체계적으로 분담·처리하고 있어 업무에 차질은 없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극우 성향 유튜버 등을 중심으로 윤 전 대통령이 수감된 경기도 의왕 서울구치소 주소가 확산되면서 “편지를 보내자”는 캠페인까지 벌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일부 지지자들은 계엄령을 ‘계몽령’이라 부르거나 부정선거 의혹을 주장하는 등 허위 정보가 담긴 편지를 공유하며 발송을 독려하고 있다.
현장 교도관들은 업무 과중을 호소한다. 교정 당국은 형집행법에 따라 수용자가 받는 모든 서신을 열람·확인하는 절차를 거친다. 한 교도관은 매체에 “내용을 읽을 순 없지만 안에 마약이나 날카로운 물건이 들어 있을 수 있어 뜯어서 확인해야 한다”며 “과밀 수용으로도 힘든데 편지까지 쏟아지니 직원들 부담이 커지고 있다”고 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