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는 올해 기정예산 17조6106억 원 대비 6.2% 증가한 1조883억 원 규모의 ‘제3회 추가경정예산안’을 시의회에 제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추경은 정부 2차 추경에 반영된 국고보조금과 기금 여유재원, 지방채 발행 등을 활용해 편성됐다. 시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역사랑상품권 인센티브, 청년·취약계층 복지, 교통 인프라 개선 등 지역 현안에 집중 투자해 경기 회복과 민생 안정을 도모한다는 방침이다.
가장 큰 비중은 경기회복과 소비 진작을 위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업’이다. 국비 8706억 원과 시비 638억 원을 포함한 총 9344억 원을 투입해 시민 체감형 소비 촉진을 지원한다. 지역 내 소비를 촉진하고 소상공인 매출을 확대하기 위한 ‘지역사랑상품권 인센티브’ 보상금에도 837억 원을 추가 편성했다. 이에 따라 당초 7%였던 지역화폐 ‘동백전’ 캐시백률은 9월부터 최대 13%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청년·취약계층 지원에도 469억 원을 배정했다. 청년층 주거비 부담을 경감하는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사업’에는 104억 원을 추가 반영했다. 지원 기간이 1년에서 2년으로 늘어나면서다. 발달장애인 주간활동서비스 지원사업에는 대상자 318명을 추가해 49억 원을, 영유아 보육료 지원사업에는 0~2세 및 장애아동 보육료 단가 인상(5%)을 반영해 27억 원을 각각 추가 편성했다.
지역 현안에도 예산을 배정했다. 야간 돌봄 공백을 해소하기 위한 취약계층 아이돌보미 처우개선비 1억 원, 2026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부산 개최 준비 5억 원, 2028 세계디자인수도(WDC) 범시민 공감대 형성 5억 원, 정규직 일자리 유지 및 채용 촉진 6억 원 등이다. 아울러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건설 100억 원, 도시철도 무선통신망 구축 82억 원 등 교통 인프라 개선에도 재원을 투입한다.
이번 추경 편성 배경은 정부 2차 추경 반영 사업의 원활한 추진과 국고보조사업 변경 사항 반영, 세계유산위원회 유치 등 긴급 재정수요 반영에 있다. 시는 연말까지 예산안 심의와 집행을 신속히 추진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삶의 질 향상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박형준 시장은 “이번 추경은 한정된 재원 속에서도 민생 안정과 경기 회복에 실질적 도움이 되는 분야에 집중 투자했다”며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지역경제 활력 회복의 마중물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