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텔이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자사의 최대주주 지분을 확보한 것을 두고 “해외에서 규제를 받을 수 있고 주가가 희석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인텔은 25일(현지 시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공시를 통해 “미국 정부가 주요 주주가 되면서 해외에서 추가적인 규제를 받을 수 있고 해외 보조금을 받는 데 제한받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22일 인텔 보통주 4억 3330만 주를 주당 20.47달러에 매입하기로 했다. 총 투자액은 89억 달러로 지분은 약 10%다. 투자금 중 57억 달러는 연방 정부가 지급하기로 한 반도체법 보조금로 충당하고 나머지 32억 달러는 보안 칩 생산을 위한 별도의 지원금으로 채운다. 미국 정부는 이번 투자로 인텔 지분을 8.92% 보유한 자산운용사 블랙록을 제치고 인텔의 최대주주가 된다. 지난해 인텔 매출의 76%가 미국 이외 지역에서 발생했다. 이 가운데 중국 매출만 전체 29%를 차지했다.
인텔은 또 미국 정부에 발행되는 주식이 현재 시장가보다 할인된 가격으로 책정돼 기존 주주의 주식 가치가 희석될 수 있다고도 지적했다. 미국 정부가 매입하기로 한 인텔 주식 가격(20.47달러)은 지난 22일 종가(24.80달러)보다 약 20% 낮은 수준이다.
인텔은 아울러 미국 정부가 법률·규제 측면에서 갖는 막강한 권한이 회사의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쳐 주주에게 이익이 될 수 있는 거래를 제한할 수도 있다고 걱정했다. 또 소송이나 정치적·공적 감시가 강화될 가능성이 있고 워싱턴의 정치 지형 변화가 거래를 무효로 하거나 주주들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고도 덧붙였다. 이날 인텔의 주가는 1.01% 하락한 채 마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관련해 22일 “립부 탄 인텔 최고경영자(CEO)는 자기 자리를 지키길 원했고 100억 달러(약 14조 원·인텔 지분 10%의 대략적 가치)를 미국을 위해 포기하기로 했다”며 “우리는 인텔과 같은 거래를 많이 하고 있고 더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삼성전자(005930), TSMC 등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가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한 다른 기업들의 지분도 거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암시한 것이다.
미국 연방 정부의 인텔 지분 인수는 앞서 트럼프 대통령과 탄 CEO가 회동한 지난 11일부터 급물살을 탔다. 트럼프 대통령은 탄 CEO를 만나기 전인 지난 7일까지만 해도 그가 중국과 연계됐다는 우려를 제기하며 사임을 촉구했다가 11일에는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트루스소셜에 “탄 CEO를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함께 만났는데 매우 흥미로웠다”고 치켜세우기 시작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