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 음식에 쓰이는 플라스틱 포장재에서 나온 미세플라스틱이 장내 미생물 균형을 해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최근 국제 학술지 환경오염에 실린 중국 산시의대 논문에 따르면, 연구진이 대학생 24명의 대변을 수집해 분석한 결과 모든 샘플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그 양은 대변 100g당 171~269개 수준으로, 주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와 섬유형의 입자가 많았다. 나노플라스틱은 전체의 0.14% 정도로 발견됐다.
미세플라스틱은 크기 1마이크로미터(㎛)~5mm, 나노플라스틱은 그보다 훨씬 작은 10나노미터(nm)~1㎛의 극미세 입자를 가리킨다.
또한 배달 음식을 하루 세 끼 이상 섭취하는 학생들은 그렇지 않은 학생들보다 대변 내 미세플라스틱 농도가 확연히 높았다. 물 섭취량과 특정 플라스틱(PVC) 검출 농도 간에도 유의미한 연관성이 나타나, 포장 음료·일회용컵·플라스틱 물병 등이 노출 경로가 될 수 있음이 드러났다.
장내 미생물 다양성 자체에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미세플라스틱 농도가 높은 학생들에게서는 장내 세균 구성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난 사실도 확인됐다.
나노플라스틱이 거의 없는 집단과 비교했을 때 이들 집단에선 일부 특정 세균 비율은 늘어나고, 장 건강에 기여하는 유익균은 줄어들었다. 이는 미세·나노플라스틱이 장내 세균의 균형을 흔들고 유익균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가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 가운데 나노플라스틱과 장내 미생물 불균형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한 첫 사례라고 밝혔다. 동시에 플라스틱 포장재가 주요한 노출 경로라는 점을 지적했다. 다만 참여 인원이 적고 관찰 기간이 짧아 결과 해석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도 덧붙였다.
연구를 이끈 팀은 “배달 음식과 일회용 플라스틱 사용이 청년층 건강에 장기적으로 미칠 영향을 고려해, 관련 규제 강화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