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규 강릉시장이 최근 가뭄 대책 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원수 확보 비용’ 관련 질문에 제대로 답하지 못한 것과 관련해 "질문 요지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 제 불찰"이라며 해명에 나섰다.
김 시장은 1일 열린 가뭄 대응 비상대책 2차 기자회견 직후 질의응답에서 이같이 밝혔다.
앞서 지난달 30일, 이 대통령은 강릉 오봉저수지를 시찰한 뒤 강릉시청 재난안전상황실에서 가뭄 대책 회의를 주재했다. 이 자리에서 김 시장에게 정부에 요청한 국비 500억 원의 세부 사용 내역을 물었고, 김 시장은 “정수장 확장”이라고 답했다.
그러자 대통령은 “원수 확보는 어떻게 하느냐”고 재차 질문했다. 그러나 김 시장은 정수장 관련 비용만 필요하다고 설명했고, 이에 이 대통령은 원수 확보 사업과 정수 과정에 드는 비용이 따로 있을 텐데 정수장 예산만 필요하다고 답하는 데 답답함을 느낀 것으로 전해졌다. 김진태 강원도지사가 중간에서 대통령의 질문을 다시 설명했지만, 끝내 양측이 서로 내용을 이해하지 못한 채 회의가 종료됐다.
이에 대해 김 시장은 "일반적으로 원수비는 용수 사용에 따른 비용으로 이해되지만, 강릉 연곡정수장은 지하저류댐 설치 외에는 추가적인 원수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면서 "실제 문제는 정수시설과 관로 보수에 필요한 예산"이라고 해명했다.
그는 "연곡정수장에서 하루 1만4800t의 용수를 공급받고 있으며, 지하저류댐을 증설하더라도 원수비가 들지 않는다"며 "제가 강조하려 했던 부분은 정수시설 현대화와 관로 보수 예산의 필요성이었으나, 당시 질문의 의도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해 답변 과정에서 혼선이 생겼다"고 덧붙였다.
또 김 시장은 "정수장 현대화나 관로 보수 사업은 지방비 부담이 커 속도가 더디게 진행될 수밖에 없다"며 "마침 대통령께서 오셨기 때문에 지방비로 해야 할 사항임에도 한번 떼를 좀 써보려고 말씀드렸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