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에서 영향력을 키우기 위해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들을 공략하고 있다.
정보기술(IT) 전문 매체인 디인포메이션은 3일(현지 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구글이 엔비디아 반도체로 데이터센터를 운영 중인 소규모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들과 접촉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런던에 본사를 둔 플루이드스택과 협의를 진행해 뉴욕 데이터센터에서 구글 반도체를 사용하기로 양측이 잠정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엔비디아 칩 의존도가 높은 크루소와 코어위브와도 협상이 진행 중이다. 크루소와 코어위브는 각각 챗GPT 개발사인 오픈AI와 마이크로소프트(MS)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구글은 AI 특화 맞춤형 반도체인 TPU(Tensor Processing Unit·텐서 처리 장치)를 자체 개발해 클라우드 서비스에 적용하고 있다. 제미나이 학습 훈련에도 TPU를 활용한다. 애플 역시 AI 서비스 개발 과정에서 사양은 높지만 비용 부담이 큰 엔비디아 반도체의 대체 수단으로 TPU를 찾고 있어 시장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투자기관 DA데이비슨의 애널리스트 질 루리아는 “클라우드사와 주요 AI 개발 기업 사이에서 이용 대상을 엔비디아에서 TPU로 넓히는 방안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