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2기 행정부에서 이민당국이 조지아주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공장건설 현장을 급습한 뒤 파장이 커지고 있다. 미국의 요구대로 미국에 투자해 공장을 짓는 한국 기업이 미국 단속에 공정이 중단되자 현지에서도 “이게 맞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6일(현지시간)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인 글로벌 기업들에게 강력한 이민 단속이라는 새로운 리스크가 생겼다"고 비판했다. 백악관은 대미 투자는 변함없다고 진화에 나섰다.
이번 단속은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이뤄진 단일 현장 단속 중 최대 규모로 꼽힌다. 이민세관단속국(ICE), 마약단속국(DEA), 연방수사국(FBI)까지 동원된 작전에서 국토안보수사국은 475명을 체포했다고 발표했다. 이 가운데 한국인이 70%를 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 상당수는 회의나 계약을 위한 B1 비자 또는 ESTA로 입국했으나, 현지 취업이 불가능한 체류 목적 위반 활동을 했다는 이유로 단속이 이뤄졌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이민 당국이 현장 직원의 두 손을 케이블타이로 묶고 연행하거나 한국인들을 줄 세워 가방을 수색하는 영상이 올라왔다. 미국인들 사이에서도 "외국 기업들이 미국에 새 공장을 짓고 싶어 하지 않을 것" "3500억 달러 약속이 사라졌다" "한국의 시민과 기업에 대한 무례" 등 비판이 이어졌다.
한국에서 출장간 이들 중 상당수는 회의나 계약을 위한 B1비자나 무비자인 관광용 전자여행허가(ESTA)를 통해 미국으로 입국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들에 대해 현지 취업이 불가능하거나 ‘체류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활동’, 즉 사실상 현지에서 불법으로 근로 활동을 했다는 이유로 단속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현지 공장에서 일하려면 전문직 취업(H-1B) 비자나 주재원(L1·E2) 비자를 취득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할 일을 한 것뿐"이라고 밝혔다. 그는 취임 이후 불법 이민자 단속을 핵심 정책으로 밀어붙여 200일간 35만9000명을 체포하고 33만2000명을 추방했다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행정부가 조지아주 현대차 공장에서 대규모 이민 단속을 벌인 것은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의 치적에 정치적 흠집을 내려는 시도가 아니냐는 의견이 제기됐다. 미 폭스뉴스는 이날 현대자동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합작 공장에 대해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이 제조업 일자리를 창출했다고 내세웠던 곳”이라고 언급했다.
앞서 바이든 전 대통령은 2022년 10월 공장 기공식 당시 성명을 통해 “(공장 건설이) 지난 5월 방한 때 발표됐다”며 “나의 경제정책이 조지아주에서 성과를 내고 있다”고 치적을 강조한 바 있다. 이 공장은 바이든 전 대통령이 제조업 일자리를 창출했다고 내세웠던 곳이지만, 이번 단속으로 외국인 불법체류자가 그 일자리를 도맡고 있는 모양새로 비치게 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