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평택캠퍼스 5공장(P5) 건설과 4공장 생산라인 추가 공사를 동시에 재개하면서 평택 부동산시장이 다시 들썩이고 있다.
평택캠퍼스는 총 289만㎡ 규모로 세계 최대 반도체 생산 기지다. 2017년 P1을 시작으로 현재 P4 일부까지 가동 중이며, 이번에 P5 착공과 P4 라인 증설이 다시 추진되면서 ‘삼성 효과’가 본격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P5에는 최근 폭발적으로 수요가 늘고 있는 AI 반도체·HBM(고대역폭메모리) 생산라인이 들어서며, 업황에 따라 D램 라인도 함께 구축될 예정이다. 글로벌 AI 칩 시장에서 삼성전자가 테슬라 차세대 AI칩 파운드리, 갤럭시S26 엑시노스, 엔비디아 HBM3E 공급 및 HBM4 양산 계획 등 공격적인 행보를 보이는 만큼, 평택 투자는 속도를 더할 전망이다.
한 부동산 관계자는 “삼성전자 평택 5공장과 4공장 라인 재개 소식은 지역 부동산에 직결되는 대형 호재”라며, “실제로 과거 1공장 가동 시 집값과 분양 시장이 빠르게 반등한 바 있으며, 이번에도 대규모 고용과 인구 유입으로 전·월세와 매매 수요가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 같은 삼성전자의 행보는 지역 부동산에도 직접적 영향을 준다. 대규모 생산시설 증설은 고용 창출, 인구 유입, 상권 활성화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실제 평택은 2017년 1공장 양산 이후 인구가 늘고 지역경제가 살아나는 ‘삼성 효과’를 이미 경험한 바 있다. 당시 침체돼 있던 분양시장이 두 자릿수 경쟁률을 기록하며 분위기가 반전됐고, 원도심 상권과 교통망 확충 속도가 빨라지는 등 도시 전반이 환골탈태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P5 착공과 P4 증설이 같은 흐름을 재현하며 평택 원도심의 주거 가치와 미래 성장성을 한층 끌어올릴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런 가운데 현대건설이 평택 원도심에 공급하는 대단지 ‘힐스테이트 평택역센트럴시티’가 평택의 ‘삼성효과’ 후광으로 주목받고 있다.
‘힐스테이트 평택역센트럴시티’는 경기 평택시 합정동 일원에 지하 3층~지상 35층, 14개 동 규모로 조성된다. 총 1918가구 중 599가구가 일반 분양 분이다.
이 단지는 다수의 산업 단지를 빠르게 이동 가능한 직주근접 단지로 각광받고 있다. 실제로 삼성전자 평택캠퍼스를 비롯해 송탄산업단지, 칠괴산단, 평택종합물류단지 등 다양한 산업시설과 가깝다. 특히 평택캠퍼스 공사 재개 소식이 전해지면서 고소득 고정 수요의 유입이 기대되고 있다.
입지도 우수하다. 도보권 내 평택역을 통해 수도권 1호선을 이용할 수 있고, 평택역에서 한 정거장 거리인 SRT 평택지제역을 통해 강남 수서역까지 40분대 이동이 가능하다. 향후 평택지제역은 GTX-A·C 노선 연장(예정), 수원발 KTX 직결(예정) 등 향후 5개 노선이 지날 예정이어서 접근성은 더욱 좋아질 전망이다.
고속버스터미널, AK플라자, 평택 중앙시장 등 상업 및 교통 인프라가 밀집해 있어 생활 편의성도 높다. 또한 단지 인근에 합정초, 평택고, 한광고, 마이스터고 등 명문 학군도 위치해 학부모 수요의 선호도가 높다는 평가다.
설계와 커뮤니티도 돋보인다. 남향 위주의 단지 배치, 12개 타입 구성, 쾌적한 조망과 통풍을 고려한 평면 등이 강점이다. 피트니스, 스크린골프, 사우나, 독서실, 작은 도서관, 어린이집 등 다양한 커뮤니티도 계획돼 있다. 여기에 가구당 약 1.5대의 주차 공간, 전 세대 개별창고 등도 갖췄다.
계약 조건도 주목 받고 있다. 통상 10%로 책정되는 계약금을 5%로 낮췄고, 1차 계약금은 500만원 정액제를 실시한다. 입주 시까지 500만원으로 계약이 가능해 소비자 부담을 크게 덜었다.
견본주택은 경기도 평택시 합정동에 마련돼 있으며, 입주는 2028년 1월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