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해운협회가 포스코그룹의 HMM(011200) 인수 검토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하며 강력 반발했다.
해운협회는 11일 포스코그룹의 HMM 인수 검토에 대해 성명을 내고 "포스코그룹의 HMM 인수가 성사되면 컨테이너선 분야의 해운 전문 경영이 불가능하고 기존 선사들이 시장에서 퇴출되는 등 해운산업 근간이 훼손될 수 있다"며 강력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해운협회가 포스코그룹의 HMM 인수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는 부분은 세 가지다. 우선 HMM이 해운 전문기업이 아닌 포스코의 주력인 철강 사업의 보조기업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해운협회는 "철강산업이 어려워질 경우 해운 재건 5개년 계획에 의해 정부와 업계가 어렵게 회생시킨 HMM이 희생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HMM 인수를 통해 포스코가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해 “컨테이너선 운영은 철강 물류비와는 관계가 없다”고 일축했다.
해운업 생태계가 파괴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제기했다. 포스코그룹이 HMM을 인수하면 컨테이너선이 주력인 HMM에 철광석과 철강제품 등의 수송까지 맡겨 기존 선사들이 시장에서 퇴출될 수 있다는 이유다.
특히 해운협회는 포스코그룹이 과거 직접 해운사를 운영했다 실패한 것을 꼬집으며 압박했다. 협회는 "포스코가 거양해운을 운영하며 원료 및 제품을 수송했지만 결국 자가화물 운송업체로서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경쟁력을 상실해 한진해운에 매각됐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정부도 해운법을 통해 사실상 대량 화주의 해운업 진출을 제한하고 있고, 정부의 제3자물류 육성 정책과도 전면 배치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양창호 해운협회 상근부회장은 “포스코가 2022년에 해운업 진출을 하지 않겠다는 상생협력 협약을 맺고 3년 만에 약속을 이행하지 않겠다는 것" 이라며 "국민경제에 큰 피해를 줄 이번 결정을 전면 철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