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은 지난 2일부터 11일까지 한국형 혁신 클러스터 모델의 전수·확산을 위한 제28차 K-STP(Korea’s Science & Technology Park) 프로그램 연수를 운영했다고 11일 밝혔다.
K-STP 프로그램은 해외 파트너국의 대덕특구 발전과정 공유 요청으로 2008년부터 시작됐고 올해까지 총 81개국 558명의 수료자를 배출하며 명실상부한 한국형 사이언스파크 모델 연수 프로그램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번 연수에는 아르헨티나, 브라질, 인도네시아, 세르비아, 튀르키예 등 20개국의 과학기술 정책 담당자 20명이 참여했다. 참가자들은 한국의 혁신 생태계, 기술이전·사업화 시스템, 대덕특구내 산·학·연 협력 모델을 학습하고 현장 방문을 통해 연구개발특구의 운영 및 성과를 직접 체험했다.
특히 올해는 특구재단 창립 20주년과 연계해 연구개발특구의 글로벌 진출 성공 사례와 정주 지원 현장을 둘러보고 해외 기관 및 국제기구 관계자들과 과학기술 정책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도 진행됐다.
연수를 수료한 블라디미르 토도로비치(Vladimir Todorović) 세르비아 노비사드 과학기술단지 개발 센터장은 “높은 경쟁률을 뚫고 이번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어 매우 영광이었다”며 “산·학·연이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대덕특구의 혁신 생태계는 세르비아 과학기술단지가 한 단계 도약하는 데 중요한 벤치마킹 모델로, 실제 정책 수립 과정에도 반영할 계획”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정희권 특구재단 이사장은 “이번 제28차 K-STP 프로그램은 한국형 혁신 클러스터 연구개발특구의 성과와 노하우를 전 세계와 공유하고 각국의 정책 담당자들이 함께 미래 발전 전략을 모색하는 뜻깊은 자리였다”며 “특구재단은 앞으로도 연구개발특구의 국제적 위상을 기반으로 글로벌 혁신 생태계의 선도 기관으로서 역할과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