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이민 당국에 의해 체포·구금된 한국인 약 300명의 귀국 절차가 지연된 것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들의 귀국 대신 미국에 계속 남을 것을 권했기 때문인 것으로 확인됐다.
외교부 관계자는 10일(현지시간) 워싱턴DC 주미대사관에서 진행한 브리핑에서 “구금된 한국인들이 애초 이날 출발하려 했지만 돌연 연기된 것은 미국 측 사정 때문이었다”라며 “조현 외교부 장관이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을 만나 확인한 결과, 트럼프 대통령이 귀국 절차를 일단 중단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오늘 오전 조 장관이 루비오 장관을 만나서 이야기를 들어보니 미국 측 사정이라는 게 트럼프 대통령이 구금된 한국 국민이 모두 숙련된 인력이니 한국으로 돌아가지 않고 미국에서 계속 일하면서 미국의 인력을 교육·훈련 시키는 방안과, 아니면 귀국하는 방안에 대해 한국의 입장을 알기 위해 귀국 절차를 일단 중단하라 지시했다고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조 장관은 우리 국민이 대단히 놀라고 지친 상태여서 먼저 귀국했다가 다시 (미국에 돌아와서) 일하는 게 좋겠다고 얘기했고, 미국(루비오 장관)도 우리 의견을 존중해 (구금 한국인이) 귀국하도록 하겠다고 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귀국 전세기를 대기 중인 공항으로 호송하는 과정에서 수갑 등 신체적 속박 여부를 두고 미 당국 내 이견이 있었다는 이야기도 돌았다. 이에 대해 외교부는 “트럼프 대통령이 엄격한 호송 규정에도 불구하고 한국 측 요청을 받아들여 수갑 등의 신체적 속박 없이 공항으로 호송할 것을 지시했다”고 전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또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처럼 한국을 배려한 것은 성공적인 한미 정상회담에서 형성된 정상 간 깊은 신뢰와 유대가 바탕이 됐다”며 “정부는 우리 국민이 안전하게 귀국할 때까지 미측과 긴밀히 협의하며 지원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