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인공지능(AI) 보급 등으로 수요가 급증하는 데이터센터 건설을 뒷받침하기 위해 송배전 관련 규제를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통상 송배전 공사가 완료돼야 전력망에 접속해 전력을 끌어올 수 있지만, 데이터센터 건설 속도를 송배전망 정비가 따라가지 못하자 여건만 갖춰지면 조기 연결을 허용하겠다는 취지다.
11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경제산업성은 연내 관련 규정을 재검토해 송배전 회사에 약관 개정을 요구할 방침이다. 핵심은 정전 대비용 축전지 등을 마련한 데이터센터의 경우 전력망에 조기 접속할 수 있도록 규칙을 개정하는 것이다. 일본 송배전망은 태풍 등으로 인한 단선에 대비해 전선을 이중화하는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만큼 공사 기간이 길다. 이렇다 보니 접속을 위해 대기하는 시간이 10년씩 걸리는 일까지 벌어지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이번 개정을 통해 데이터센터 보급에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AI 붐에 맞춰 데이터 통신량이 증가하면서 일본에서도 데이터센터 건설이 잇따르고 있다. 데이터센터는 대용량 전력을 사용하기 때문에 고압 변전소나 전선 정비가 필요하지만, 현재 관련 회사들의 공사가 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경산성에 따르면 데이터센터가 집중된 치바현 인자이시 일대의 경우 지난 3월 기준 전력 접속 대기 신청이 40건, 2.5기가와트(GW)에 달한다. 경산성은 이 외에도 재생에너지 발전소 인근 공급 여력이 있는 전원 인근에 데이터센터를 유치하는 정책도 추진할 방침이다. 일본 정부는 올 2월 발표한 에너지 기본계획에서 2040 회계연도 전력 수요가 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2022 회계연도 대비 최대 20% 증가할 것으로 추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