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한국사 강사이자 유튜버인 전한길 씨는 자신이 운영하는 채널 '전한길 뉴스'가 구글코리아로부터 수익 창출 중단 처분을 받았다고 반발했다.
전 씨는 13일 유튜브 방송을 통해 "오늘 다시 또 구글코리아로부터 수익창출이 중단됐다는 메일을 받았다"며 "언론 탄압이자 보수 우파를 죽이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민감한 사건 때문에 수익창출을 중단한다고 했다"며 "헌법에 보장된 표현의 자유, 언론의 자유 통해 진실을 전했는데 민감한 사건을 누가 판단하느냐. 구글코리아 안에 있는 좌파 직원들이 판단하는 거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전한길은 불법행위를 하거나 허위사실을 유포한 적도 없다"며 "다만 이재명과 위성락, 조은석과 이런 인간들이 행하는 짓에 대해 실체 알렸을 뿐이고 진실 알렸을 뿐"이라고 항변했다.
유튜브는 전 씨의 채널이 '민감한 콘텐츠' 정책을 위반한 것으로 판단해 수익 창출을 중단한 것으로 추정된다. 유튜브 콘텐츠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민감한 사건으로부터 이익을 얻거나 이를 악용하는 콘텐츠의 경우 수익을 창출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그러면서 예로 들고 있는 민감한 사건은 △저속한 표현 △아동 보호 위반 △폭력적인 이미지나 썸네일 △분쟁 또는 대규모 폭력행위 등이다.
다만 유튜브 채널을 통한 수익이 막혔더라도 자율 후원을 통한 수익 창출은 여전히 가능하다. 전 씨는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계좌 번호를 공개적으로 기입하고 '자율 구독료' 명목으로 후원을 받고 있다.
한편 전 씨는 현재 미국에 체류 중이며 최근 워싱턴 DC에서 열린 '트루스포럼'에 참석해 "언제 출국 금지·구속될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미국으로 온 것"이라고 밝혔다.
전 씨는 최근 총격으로 피살된 미 우파 청년 활동가 찰리 커크를 언급하며 “개인적인 롤모델이었는데 희생이 너무나 가슴 아프다”고 말했다. 또 "이 행사를 오면서도 누가 총을 들고 오는 것 아닌가 (걱정돼) 150만 원짜리 방탄복도 구입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전 씨는 최근 자신의 유튜브 방송에서 "미국 내부에서 망명하는 게 낫지 않겠는가, 이런 제안도 받고 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