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공공기관과 민간기업의 개인정보보호책임자(CPO)들이 인공지능(AI) 혁신과 프라이버시 강화를 동시에 추진하자는 취지의 ‘AI 프라이버시 공동선언문’을 발표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한국개인정보보호책임자협의회(한국CPO협의회)는 15일 서울 그랜드 하얏트 호텔에서 ‘개인정보보호 및 안전활용 선포식’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공동선언문을 채택했다. 이번 행사는 95개국 148개 감독기구가 참여하는 세계 최대 개인정보 감독기구 협의체인 제47차 글로벌프라이버시총회(GPA) 사전 행사로 마련됐다. GPA는 이날부터 19일까지 열린다.
선언문에는 카카오, 비바리퍼블리카, LG유플러스, SK텔레콤, 우아한형제들, 삼성전자, LG전자, 기아, 현대자동차, GS건설, 삼성카드, 신한은행, 삼성서울병원,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교통안전공단 등 총 61개 한국CPO협의회 회원사가 참여했다.
공동선언문은 AI 개발·활용 과정에서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데이터 처리와 관련해 정보주체의 권리 보장과 신뢰 확보를 강조하는 내용으로, ‘AI 안전 생태계 조성을 위한 7대 실천사항’으로 구성됐다. 7대 실천사항에는 △AI 기술 혁신 촉진 △투명성 확보 △프라이버시 리스크 선제 관리 △모두에게 공평한 AI 혜택 보장 △프라이버시 관련 법규 준수 △신뢰 기반 AI 협력 강화 △보호책임자 중심 AI 프라이버시 거버넌스 확립 등이 담겼다.
최장혁 개인정보위 부위원장은 축사에서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AI 데이터 거버넌스를 마련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며 “오늘 이 자리가 프라이버시 보호와 AI 혁신의 선순환 생태계를 조성해 신뢰와 책임 기반의 AI 시대를 견인하는 데 CPO들이 주도적 역할을 해 나가는 전환점이 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염흥열 한국CPO협의회 회장은 “이번 공동선언문은 AI 일상화 시대에 혁신과 프라이버시를 동시에 충족시키는 글로벌 행동강령의 출발점”이라며 “국내외 기업과 기관들이 함께 실천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