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조지아주의 경제계 주요 인사들이 미국 이민 당국에 체포됐다가 일주일간 구금된 뒤 귀국한 한국인 근로자들을 미국으로 돌아오게 하는 방안이 내부적으로 논의되고 있다고 밝혔다.
트립 톨리슨 조지아주 서배너 경제개발청장은 17일(현지시간) '서배너 모닝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현대차 공장에 일하는 사람들은 장비를 설치하고 임직원들에게 배터리 셀 기술을 가르칠 수 있는 유일한 사람들이기 때문"이라며 한국인 근로자들이 돌아오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서배너 경제개발청은 조지아주정부와 긴밀히 협력하며 지역 경제 성장 촉진을 도모하는 민간기구다.
필립 라이너트 경제개발청 대변인도 "체포된 LG 직원들은 장비 설치와 지원, 직원 교육을 위해 미국을 임시로 방문한 사람들"이라며 "그들은 장비 설치와 전문적 지식을 갖춘 숙련된 기술자들"이라고 말했다.
톨리슨 청장은 "한국인 근로자들이 겪은 실망감을 충분히 이해한다. 우리는 한국인들에게 의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팻 윌슨 조지아주 경제개발부 장관과 함께 지난주 디트로이트에서 현대차 경영진과 만났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현대차 측은 매우 놀라고 충격을 받았다. 우리는 프로젝트 완공을 위해 돕겠다고 밝혔으며, 한국인들을 귀환시키기 위한 많은 논의를 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16일 브라이언 켐프 조지아 주지사는 "미국의 비자 제도를 전면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날 리비안 전기자동차 공장 착공식에서 "이번 사건은 현대차만의 문제가 아니다. 전국의 많은 기업이 똑같은 문제를 겪어왔다"며 "현장에서 실제로 무슨 일이 있는지 많은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크리스 클락 조지아주 상공회의소장도 "공장을 지으러 온 한국, 일본, 독일 근로자들을 위해, 미국 비자 제도의 전면적 개편이 필요하다"며 "그것이 장기적으로 볼 때 조지아 노동자들에게 이득"이라고 말했다.
한편 미국 이민 당국은 지난 4일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 합작사인 'HL-GA 배터리' 건설 현장을 단속해 불법 고용 혐의로 475명을 구금했다. 이후 한국인 316명을 포함한 외국인 노동자 330명이 12일 전세기를 통해 귀국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