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9·19 평양공동선언 및 남북군사합의 7주년인 19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자폭 무인기 공격 성능 시험 참관 모습을 공개했다. 북한이 러시아 파병으로 현대전 경험을 쌓은 후 재래식 무기 첨단화에 더욱 힘을 쏟는 모습이다.
조선중앙통신은 19일 김 위원장이 전날 무인항공기술연합체 산하 연구소와 기업소에서 개발 생산하고 있는 무인 무장 장비의 성능 시험을 지도했다고 보도했다. 김 위원장의 무인기 시험 지도는 3월 이후 6개월 만이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에도 두 차례 무인기 성능 시험 현지 지도를 했다.
통신은 “‘금성’ 계열 전술 무인 공격기들의 우수한 전투적 효과성이 뚜렷이 입증됐다”고 소개했다. 북한 매체에서 ‘금성’이라는 전술 무인 공격기 계열명이 나온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보도에도 모자이크 처리를 하지 않고 ‘금성’이라는 계열명도 그대로 공개했다.
통신이 공개한 성능 시험 사진에는 두 종류의 자폭형 무인 공격기가 목표물을 타격해 폭발하는 모습이 담겼다. 이 중 이스라엘 ‘히어로’와 외형이 비슷한 무인 공격기의 경우 타격하는 모의 표적이 미군의 스트라이커 기동포와 유사해 보인다는 점도 눈길을 끌었다. 북한판 ‘글로벌호크’로 불리는 전략 무인 정찰기 ‘샛별-4형’도 등장했다.
김 위원장은 이번 참관 과정에서 무인기에 대한 인공지능(AI) 기술 도입을 여러 차례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현대전에서 무인 장비들의 이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며 “무인 무장 장비 체계들의 AI 및 작전 능력 고도화가 우리 무력 현대화 건설의 최우선적인 중요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통신은 “(김 위원장이) 무인항공기술연합체의 기술적 잠재성을 더욱 확대 강화하기 위한 조직 기구적 대책이 반영된 중요 계획 문건을 승인하고 비준했다”고 전했다. 올해 말 또는 내년 초 진행될 제9차 당대회에서 공개될 차기 국방력 발전 계획에 담길 내용을 마련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무인기 개발은 핵·미사일 외 새로운 위협의 축으로 부상했다”며 “9차 당대회를 앞두고 군사·경제 분야의 성과를 과시하는 차원의 선전이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북한 매체들은 김 위원장이 같은 날 신의주 온실종합농장 건설 및 지역 개발 사업을 현지에서 지도한 장면도 집중 보도했다. 김 위원장의 민생 이미지 부각 차원으로 해석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