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변호사 명의를 사칭한 폭탄 테러 협박 사건이 전국에 잇따르면서 한국과 일본 경찰이 수사 ‘핫라인’ 구축에 나선다. 양국 수사기관의 연락 채널을 지정해 향후 유사 사건이 발생할 경우 수사 정보를 긴밀히 공유하며 보다 신속한 범죄 대응에 나설 계획이다.
24일 서울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경찰청은 최근 일본 경찰청과의 협의를 통해 일본발 폭발물 설치 협박 신고가 접수될 경우 양국 담당자가 소통할 수 있는 연락 채널을 지정하기로 했다. 수사 당국 간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앞으로는 유사 신고가 접수되면 보다 신속하게 일본 측과 수사 정보를 공유해 초기 대응 속도가 크게 빨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앞서 이달 10일부터 12일까지 사이버수사심의관(경무관)과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 등 5명으로 구성된 전담 출장단을 일본에 파견하는 등 일본 측과의 공조에 힘써온 경찰청은 수차례 실무회의를 거쳐 양국 수사기관 간 소통 채널을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
그동안 경찰은 협박 팩스와 전자우편이 일본에서 발송됐다는 사실을 확인한 뒤 발신자를 찾기 위해 서너 차례 인터폴을 통한 형사사법공조를 진행해왔다. 그러나 해외발 팩스의 경우 이용자가 발신지를 변경하기 쉽고 여러 나라를 우회해 전달되기 때문에 정확한 발송 위치를 파악하는 데 다소 어려움이 있었다. 경찰 관계자는 “한국과 일본 수사 기관이 소통할 수 있도록 ‘컨택포인트’를 구축해 앞으로는 보다 더 신속하게 범죄에 대응해 갈 것”이라고 했다.
일본발 테러 협박은 ‘가라사와 다카히로’라는 실존하는 일본 변호사 명의를 도용해 국내 주요 시설에 폭발물을 설치했다거나 테러를 벌이겠다는 내용의 팩스나 e메일이 발송되는 사건을 의미한다. 2023년 8월 국내에서 처음 발생한 후 지난달까지 총 51건이나 접수됐다. 첫 사건은 이재명 당시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살해하지 않으면 국립중앙박물관에 폭발물을 설치하겠다는 e메일이었다. 지난달에는 관련 신고가 10건이 접수되기도 했다. 일본에서는 약 10년 전부터 동일한 수법의 사건이 횡행해 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