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28일 이재명 대통령의 이른바 ‘성남 라인’ 최측근으로 불리는 김현지 대통령실 총무비서관에 대해 “역대 정권 최초로 비서실장 위에 있다”고 비판했다.
최보윤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대통령실의 위계와 기강이 완전히 흔들리고 있다”며 “지난 8월, 280여 명의 장차관·실장급 인사들이 모인 공식 석상에서 대통령이 김 비서관을 실명으로 거론한 순간, 대통령실 권력 서열은 완전히 뒤틀렸다”고 지적했다.
당시 이 대통령은 과거 성남시장 시절 일화를 소개하며 “결식아동 급식카드에 ‘결식아동카드’라는 게 딱 표시가 돼 있었다. 제가 그걸 김 비서관에게 지적해서 고쳤다”고 말한 바 있다.
최 수석대변인은 “김 비서관이 직접 강선우 전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게 사퇴할 것을 통보했다는 보도 역시 충격적이었다”며 “장관 임명과 사퇴 통보는 비서실장의 권한이다. 그런데 인사위원회 위원장인 비서실장을 제치고 총무비서관이 나섰다면 이는 명백한 월권이자 ‘비서실장 위의 총무비서관’이라는 기괴한 권력 구조를 스스로 증명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총무비서관직에 대해 “본래 대통령실 살림과 직원 인사를 맡는 자리”라고 규정하며 “총무비서관이 장관급 인사까지 쥐락펴락하며 ‘만사현통’이라는 말까지 나오는 상황은 비서실장으로서는 모멸감을 느낄 수밖에 없는 대목”이라고 짚었다.
최 수석대변인은 이어 “지금이라도 강훈식 비서실장은 김 비서관에게 직급에 맞는 역할만 맡기거나, 아니면 수석으로 승진시키든, 행정관으로 강등시키든 분명한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라며 “그러나 하지 않고 있다”고 꼬집었다.
국정감사 증인 채택 문제에 대해서도 “대통령실은 김 비서관 국회 출석을 피하려고 이전 정부에는 없던 ‘재정기획보좌관’ 직제를 신설하고 지난 예결위에서는 대참 방식으로 국회 출석을 피하려는 꼼수까지 동원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최 수석대변인은 “특활비도, 직원 명단도 공개하면서 유독 총무비서관만 숨기는 이유가 무엇이냐”며 “민정수석 출석 여부를 두고 공방이 벌어진 적은 있어도 총무비서관 때문에 국회가 이렇게 시끄러워진 것은 전례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민주당은 대법원장까지 증인으로 세우겠다던 당”이라며 “그러나 대통령 최측근 비서관 앞에서는 쩔쩔매며 보호막을 치고 있다. 삼권분립을 흔들겠다던 기세는 어디로 사라졌느냐”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