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인공지능(AI)의 급속한 발전에 동반되는 ‘병목 현상’을 해결할 테스트베드가 될 수 있다고 확신합니다.”
28일 경주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최고경영자(CEO) 서밋 내 ‘퓨처테크포럼 AI’에서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글로벌 AI 생태계 발전에 있어 한국이 주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최 회장은 환영사에서 “AI 발전에 따라 데이터센터를 많이 지어야 하는데, 칩부터 에너지까지 모두 병목 현상을 겪고 있다"고 짚었다. 그는 이어 “(이와 관련해) 한국은 새롭고 빠르게 적응하고 있으며, AI가 가장 빠르게 확산되고 진화하는 곳이 될 것”이라며 “과거 인터넷이나 모바일 역사에서 이미 증명해냈던 일”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SK그룹 주관으로 열린 퓨처테크포럼 AI의 주제는 ‘AI 시대의 도전과 기회, 국가 AI 생태계 전략과 해법 모색’이다. 최 회장은 환영사를 통해 AI 발전이 가져올 무한한 잠재력을 기회로, 사람, 기업, 국가 간 심화될 양극화를 도전으로 제시했다. 그는 “미국과 중국, 그리고 일부 빅테크가 AI에 막대한 규모를 투자하고 있다”며 “(AI 발전의) 속도와 규모가 크게 움직이는 만큼 격차도 더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최 회장은 이어 “한국은 정부와 기업이 원팀으로 아주 긴밀히 협업해 해법을 모색하고 있다”며 “기술 자립과 신뢰 기반의 협력, 이 두 가지 축을 어떻게 조화롭게 가져가느냐는 것이 과제”라고 역설했다. 그는 이와 관련해 SK그룹이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진행 중인 50억 달러(약 7조 원) 규모 울산 AI 데이터센터 구축과 오픈AI와 추진 중인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를 신뢰 기반 협력의 사례로 제시했다.
하정우 대통령비서실 AI미래기획수석비서관은 한국 ‘소버린 AI’ 확립을 위한 전략을 소개했다. 그는 정부의 ‘AI 3개 강국 전략’을 제시한 후 “전방위적으로 고품질의 특화 데이터를 확보하고 AI 고급 인재 양성을 집중 지원해 AI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며 “자체적 역량도 필요하지만 부족한 부분은 글로벌 파트너들과 협력하며 채워나가는 것이 소버린 AI의 핵심 철학”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퓨처테크포럼를 찾은 국내외 AI 업계 리더와 석학들은 AI의 생태계 구축을 위한 글로벌 협력의 중요성에 공감하며 그 방향성을 공유했다. 맷 가먼 아마존웹서비스(AWS) CEO는 “사실 한 국가 내에서 단일한 AI 스택을 완전히 구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TSMC와 같은 파운드리가, 한국 기업들의 메모리와 HBM이, 미국의 기술과 클라우드 솔루션이 모두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AWS는 단독이 아닌 함께 생태계를 확장하는 전략을 지속하고 있다”며 “SK그룹을 비롯한 파트너와 혁신 생태계를 조성해나가며 AI 발전을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최수연 네이버 CEO와 김경훈 오픈AI 코리아 총괄대표, 사이먼 밀너 메타 부사장은 각 소속 기업의 AI 혁신과 산업 적용 경험을 소개했다. 최 CEO는 돌봄·의료·금융·에너지 등 4개 부문에서 AI를 적용한 사례를 제시하며 “AI로 사람들의 삶을 변화시키고, 산업과 사회의 신뢰를 확장하며, 포용적 혁신을 실현하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김 총괄대표는 한국을 전략적 AI 허브로 보는 이유로 첨단 인프라, 혁신적 기업 환경, 빠른 기술 수용도, 정부 지원 등을 꼽았다. 또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은 하 수석비서관, 김 총괄대표, 최예진 미 스탠포드대 인간중심AI연구소 교수, 니틴 미탈 딜라이트 글로벌AI리더와 APEC 국가들의 AI 혁신과 윤리, 성장에 대해 의견을 주고 받았다.
한편 SK그룹은 이날 경주엑스포대공원 야외특별관에서 시작한 ‘K테크 쇼케이스’에도 참가해 ‘AI 데이터센터 솔루션’을 선보였다. AI 데이터센터에 필요한 SK하이닉스·SK텔레콤·SKC·SK엔무브 등 전사적 AI 인프라 역량을 담았다. SK그룹은 AWS와 구축 중인 울산 AI 데이터센터에 이어 이달 초 오픈AI와는 서남권에 AI 데이터센터 구축에 뜻을 모으는 등 한국이 아시아∙태평양 AI 허브로 발돋움하는 데 필요한 AI 인프라를 선제적으로 마련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unset@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