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이스X의 대항마로 꼽히는 블루오리진의 화성 탐사 로켓 ‘뉴글렌’이 세 번째 시도 끝에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뉴글렌은 화성 탐사 위성을 궤도에 올렸을 뿐 아니라 부스터 회수에도 성공하며 스페이스X ‘스타십’의 대안임을 입증했다.
블루오리진은 13일 오후 3시 55분(현지 시각)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뉴글렌을 발사했다. 발사체는 문제 없이 우주에 도달해 내부에 탑재한 미 항공우주국(NASA·나사)의 화성 탐사 위성 에스커페이드 2대를 성공적으로 궤도에 올렸으며 1단 부스터도 회수됐다. 에스커페이드 위성은 약 1년간 지구 근접 궤도를 돌다가 내년 가을 지구와 화성 궤도 정렬에 맞춰 화성을 향해 출발한다. 2027년 화성에 도달해 2028년 본격적인 관측 임무에 나선다.
뉴글렌은 당초 이달 9일과 12일 발사될 예정이었으나 기상과 크루즈선 접근 등으로 일정이 연기됐으며 이번에 성공적으로 발사된 것이다. 설계상 가능하지만 실증한 적이 없었던 1단 부스터 회수가 이뤄진 점도 고무적이다. 스페이스X와 유사한 수준의 경제성 확보가 가능함을 입증한 것이다. 데이브 림프 블루오리진 최고경영자(CEO)는 “역사상 이렇게 큰 부스터가 두 번째 시도 만에 착륙에 성공한 적은 없었다”며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를 저격했다. 스페이스X 스타십이 초기 시험비행에 연달아 실패하고 있음을 에둘러 꼬집은 발언으로 읽힌다. 스페이스X에 공개 압박을 가하며 블루오리진을 대안으로 거론했던 나사도 반색하고 있다. 숀 더피 미 교통부 장관 겸 나사 임시국장은 이날 뉴글렌의 발사 성공에 “유인 달 탐사 프로젝트인 아르테미스 계획에 필수적인 데이터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eherenow@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