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방산·항공 기업 에어버스의 테크 허브가 대전에 둥지를 튼다.
대전시는 18일 호텔 오노마에서 최성아 대전시 정무경제과학부시장과 마크 벤탈 에어버스 R&T 프로그램 총괄, 이희환 에어버스한국 대표, 산업통상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에어버스와 연구개발 혁신거점을 위한 지속 협력 강화를 내용으로 한 업무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에어버스는 2024년 싱가포르(셀레타르), 네덜란드(레이던), 일본(도쿄) 등 3곳에 테크 허브를 설치한 데 이어 네 번째 테크 허브를 대전에 설치하게 된다. 에어버스 테크 허브는 전 세계 주요 국가에 설립된 연구개발 플랫폼으로 미래 항공기 기술, 첨단 통신 솔루션, 에너지 시스템 개발 등 핵심 기술 역량을 활용해 프로젝트를 출시하는 핵심 연구 공간이다.
대전에 들어설 테크 허브는 에어버스의 글로벌 R&D 생태계의 한 축으로서 산학연 협력체계를 기반으로 공동연구, 기술혁신 등을 목표로 운영된다. 특히 대학, 특구 내 연구기관 및 혁신 기업들과의 연계를 통해 실질적인 기술 교류와 시너지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에어버스가 대전을 택한 것은 50여 년간 축적된 세계적 연구 역량과 KAIST·ETRI 등 글로벌 수준의 인프라, 국방·우주항공·반도체·양자·로봇 등 첨단 전략산업의 집중 육성 정책이 에어버스의 핵심 관심 분야와 맞닿아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대전시는 2024년 싱가포르 에어쇼에서 에어버스 고위 임원진과의 접견을 시작으로 같은 해 5월 에어버스 임원의 대전 방문, 이장우 시장과의 만남을 통해 대전의 과학기술 기반과 글로벌 혁신도시로서의 비전을 공유했다. 이후 에어버스와 지속적인 교류와 실무 논의 끝에 이번 협약이 성사됐다.
대전시는 이번 테크 허브 설치로 우주항공 및 방위산업의 글로벌 혁신 거점으로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동력을 갖추게 됐다. 향후 테크 허브를 중심으로 우주항공 및 첨단기술 기업들의 국제협력 촉진, 한국과 에어버스 간의 연구개발 협력 플랫폼으로 확장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대전시는 기업, 스타트업, 연구기관이 에어버스와 협력할 수 있는 오픈 이노베이션 생태계를 조성하고 미래 모빌리티, 그린에너지, 양자·AI 기술 등 차세대 혁신 산업 분야로의 협력도 확대할 계획이다.
최성아 대전시 정무경제과학부시장은 “에어버스 테크허브의 대전 설치는 대전이 국가 연구개발의 글로벌 허브로 성장할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지역 기업들이 에어버스와 함께 국제 공동 연구에 참여하고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 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에어버스는 대한항공, 한국항공우주산업과도 협업을 확대 중이다. 현재 국내에는 에어버스 상용기 160대 이상, 헬리콥터 60여 대, 군용기 30여 대가 운용되고 있다. 여기에 테크 허브를 기반으로 한국과 상용기, 헬리콥터, 군용기뿐만 아니라 UAM, UAS, 우주 인터넷·저궤도 위성 등 신기술 공동 연구개발에도 나설 계획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ypark@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