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 리벨리온, 美 마벨과 소버린 AI 인프라 개발 위해 ‘맞손’
    리벨리온, 美 마벨과 소버린 AI 인프라 개발 위해 ‘맞손’
    IT 2025.07.29 22:27:23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 리벨리온이 미국 반도체 기업 마벨테크놀로지(마벨)와 아시아태평양(APAC)·중동 지역의 소버린 AI 인프라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맞춤형 AI 칩을 공동으로 개발한다고 29일 밝혔다. 리벨리온은 마벨의 반도체 설계 플랫폼을 활용해 고객 맞춤형 추론용 AI 반도체를 설계한다. 마벨이 보유한 글로벌 첨단 패키징 기술과 고속 직렬 데이터 전송 기술((SerDes), 칩간 연결(인터커넥트) 등을 기반으로 서버 단위를 넘어 랙 수준의 고성능·고효율 AI 인프라를 구현한다는 목표다. 이번 협
  • AI로 바꾼 '그놈 목소리'도 잡는다
    AI로 바꾼 '그놈 목소리'도 잡는다
    IT 2025.07.29 22:22:00
    KT가 국내 최초로 ‘화자인식’과 '딥보이스 탐지' 기능을 통합한 실시간 ‘인공지능(AI)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 2.0’을 상용화했다. 기존 문맥 기반 탐지 기술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범죄자의 실제 음성을 인식하고 인공지능으로 변조된 음성까지 식별할 수 있도록 AI 보안 역량을 강화한 것이 핵심이다. KT는 30일 AI 음성합성(TTS) 기술로 생성된 변조 음성을 판별하는 ‘딥보이스 탐지’ 기능을 제공하는 ‘AI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 2.0’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KT는 지난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ICT
  • "이젠 AI 브라우저" 속도 내는 구글·MS
    "이젠 AI 브라우저" 속도 내는 구글·MS
    IT 2025.07.29 22:18:10
    웹브라우저 내 인공지능(AI) 통합이 가속화하고 있다. PC 내부보다 접근이 쉬운 웹브라우저를 이용해 AI 에이전트를 구현하겠다는 구상이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등 ‘인터넷 강자’들이 AI 브라우저 도입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순수 AI 개발사인 오픈AI와 앤스로픽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28일(현지 시간) MS는 웹브라우저 에지에 AI 모델을 통합한 ‘코파일럿 모드’를 시범 출시했다. 실행 후 첫 페이지가 챗GPT와 같은 AI 대화창이다. 열려 있는 웹페이지를 사용자가 요구하는 방식에 따라 요약하거나 과거 쇼핑&middo
  • 카카오벤처스·베이스벤처스·스마게, 영상 편집 AI 컷백에 35억 원 투자
    카카오벤처스·베이스벤처스·스마게, 영상 편집 AI 컷백에 35억 원 투자
    IT 2025.07.29 20:50:02
    영상 편집 인공지능(AI) 어시스턴트 스타트업 컷백은 35억 원 규모의 시드 투자를 유치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투자 라운드는 카카오(035720)벤처스와 베이스벤처스가 주도하고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가 참여했다. 컷백은 토스 프로덕트 리드 출신인 김담형 대표를 중심으로 토스, 카카오, 리멤버 등 국내 IT 기업과 아마존웹서비스 및 아마존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 출신 인재, 10년 이상 경력을 보유한 AI 엔지니어들로 구성됐다. 이 스타트업은 지난해 4월 동명의 전문 영상 편집자용 AI 영상 편집 에이전트를 출시했다. 컷백은 원
  • 셀트리온, 美공장 전격 인수…관세 리스크 해소한다
    셀트리온, 美공장 전격 인수…관세 리스크 해소한다
    IT 2025.07.29 18:07:20
    셀트리온(068270)이 7000억 원을 투자해 미국 현지 원료의약품(DS) 공장을 인수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의약품 관세 정책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미국에서 판매하는 모든 제품을 해당 공장에서 생산할 계획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하며 관세 리스크가 불거진 이래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은 물론 주요 기업 가운데 처음으로 공장 인수라는 대규모 투자를 단행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평가다.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은 29일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어 “항암제와 자가면역질환을 생산하는 미국 현지 공장 인수에 대한
  • [만파식적] EU 디지털서비스법
    [만파식적] EU 디지털서비스법
    IT 2025.07.29 18:02:00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2020년 12월 구글·아마존·메타 등 미국계 글로벌 빅테크 기업을 사실상 겨냥한 디지털시장법(DMA)을 유럽 의회에 제출했다. 이른바 ‘게이트키퍼’로 지정된 대형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들이 우월적 지위를 남용할 경우 엄청난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한 규제 법안이었다. EU는 불법·유해 콘텐츠 확산 방지를 목적으로 한 디지털서비스법(DSA)도 DMA와 함께 제정했다. EU의 디지털서비스법은 온라인 환경의 안전성·책임성·투명성 강화를 위해 만
  • LG유플러스 “정보보호에 5년간 7000억 투자”
    LG유플러스 “정보보호에 5년간 7000억 투자”
    IT 2025.07.29 17:52:47
    LG유플러스가 정보보호 강화를 위해 5년 간 7000억 원을 투입한다. SK텔레콤 해킹 사고를 계기로 이용자 개인정보 유출을 막는 보안 역량이 통신은 물론 인공지능(AI) 신사업 경쟁의 관건으로 떠오른 데 따른 투자 확대 조치다. 홍관희 LG유플러스 정보보안센터장(CISO)은 29일 서울 용산구 LG유플러스 본사에서 “향후 5년 동안 정보보호 분야에 약 7000억 원을 투자하겠다”며 “연간으로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전년 대비 30% 이상 투자를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회사가 투자한 828억 원을 크게 웃도는 연평균 14
  • 설계부터 실증까지…국산 AI 반도체 '판' 키운다
    설계부터 실증까지…국산 AI 반도체 '판' 키운다
    IT 2025.07.29 17:51:41
    정부가 국산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 저변을 확대하기 위한 전방위 지원에 돌입했다. 국가 주도의 AI 관련 사업에 국산 AI 반도체 기업의 참여 기회를 늘리는 한편, 실제로 기술이 산업 현장에서 쓰일 수 있도록 다양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이를 통해 외산 기업이 장악한 국내 AI 생태계에서 국산 AI 반도체 기업에 힘을 실어준다는 계획이다.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최근 국산 AI 반도체 최적화 설계 지원을 위해 300억 원 규모의 ‘AI 반도체 최적화 설계 지원’ 사업에 참여할 기업을 모집 중이다. 국내에
  • 국제물리올림피아드 휩쓴 韓 과학 꿈나무
    국제물리올림피아드 휩쓴 韓 과학 꿈나무
    IT 2025.07.29 17:46:49
    국제물리올림피아드에 출전한 한국 대표단 5명 전원이 메달을 획득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은 17일부터 25일까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55회 국제물리올림피아드에서 이연호(서울과학고2), 이혁준(서울과학고3), 최정민(경기과학고3), 한지형(서울과학고3) 군이 금메달을, 장근영(서울과학고3) 군이 은메달을 수상했다고 29일 밝혔다. 이혁준 군은 탁월한 성적으로 대회 참가자 중 종합 1위를 차지했다. 전 세계 94개국 415명의 학생이 참가한 이번 대회는 이론 시험과 실기 시험이 각 5시간씩 진행됐다. 시험 문제는 이
  • 국정위, 연구자 인건비 충당제도 PBS 폐지
    국정위, 연구자 인건비 충당제도 PBS 폐지
    IT 2025.07.29 16:23:23
    연구 비효율 주범으로 지적받은 연구과제중심제도(PBS)가 내년부터 폐지된다. PBS는 연구자가 정부 연구개발(R&D) 과제 등 외부 과제를 수주해 인건비를 충당하도록 하는 제도다. 연구자들이 과제 수주를 위해 단기 성과에만 몰두하게 만들고 연구 효율을 떨어뜨린다는 비판이 나오며 30년 만에 제도 폐지가 결정됐다. 조승래 국정기획위원회 대변인은 29일 브리핑에서 “PBS 제도 폐지를 통해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 역량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출연연의 30년 된 PBS 제도에 대해 경제인문사회연구회에선 즉시 폐지, 과학
  • 크래프톤, 상반기 매출 1조 5362억원…반기 기준 최고치
    크래프톤, 상반기 매출 1조 5362억원…반기 기준 최고치
    IT 2025.07.29 16:09:36
    크래프톤(259960)이 올해 상반기 연결 기준 매출이 1조 5362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9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1.9% 증가한 수치다. 영업이익은 9.5% 증가한 2460억 원으로 나타났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반기 기준 최고치다. 2분기 매출은 6620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6.4% 줄었다. 영업이익은 25.9% 감소한 2460억 원이다. 크래프톤은 배틀그라운드 지식재산권(IP)과 프랑스 최고급 자동차 브랜드 ‘부가티’(Bugatti) 및 인기 아티스트 ‘에스파’(aespa)와 협업을 통해 영향력을 강
  • [영상] Z폴드7 펼친 뒤 반대로 힘껏 꺾어봤다…극한 테스트 결과 "이건 흑마법이야!"
    [영상] Z폴드7 펼친 뒤 반대로 힘껏 꺾어봤다…극한 테스트 결과 "이건 흑마법이야!"
    IT 2025.07.29 14:34:54
    '세계에서 가장 얇은 폴더블폰' 삼성전자 갤럭시Z폴드7가 한 IT 유튜버의 '극한' 내구성 테스트를 무사히 통과했다. 28일 942만명 구독자를 지닌 유튜버 '제리릭에브리띵'은 "지금까지 출시된 폴더블 제품 중 가장 얇은 제품을 테스트할 시간이다, 곧 일어날 일 때문에 약간 죄책감을 느낀다"라며 이달 25일 출시된 삼성전자 갤럭시Z폴드7를 화면 앞으로 가져다 놨다. 제리릭은 Z폴드7의 전원을 켠 뒤 이리저리 살펴본 뒤 "이 휴대폰의 두께는 사실 놀랍다&
  • 티빙, 자체 제작 숏폼 드라마 다음 달 4일 첫선…"K콘텐츠 저변 확대 선도"
    티빙, 자체 제작 숏폼 드라마 다음 달 4일 첫선…"K콘텐츠 저변 확대 선도"
    IT 2025.07.29 13:42:55
    국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플랫폼 ‘티빙’이 자체 제작 숏폼 콘텐츠 ‘티빙 숏 오리지널’을 다음 달 4일부터 공개한다. 티빙 숏 오리지널은 티빙이 직접 기획 및 제작하는 편당 1~2분 분량의 숏폼 콘텐츠다. 드라마부터 예능까지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를 제공한다. 티빙은 올해 숏폼 콘텐츠를 무료로 선보인다. 티빙은 서스펜스 복수, 치정 오피스, BL, 로맨스 등 각기 다른 소재, 장로의 총 4편으로 순차적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내달 4일 처음으로 공개되는 ‘닥쳐, 내 작품의 빌런은 너야’는 유명 드라마 작가가 된 학교폭력 피해자가
  • "AI 다음 전장은 브라우저" 구글·MS 공세에 오픈AI '고심' [윤민혁의 실리콘밸리View]
    "AI 다음 전장은 브라우저" 구글·MS 공세에 오픈AI '고심' [윤민혁의 실리콘밸리View]
    IT 2025.07.29 13:02:03
    웹브라우저 내 인공지능(AI) 통합이 가속화하고 있다. PC 내부보다 접근이 쉬운 웹브라우저를 이용해 AI 에이전트를 구현하겠다는 구상이다. 구글·마이크로소프트(MS) 등 ‘인터넷 강자’들이 AI 브라우저 도입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순수 AI 개발사인 오픈AI와 앤스로픽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28일(현지 시간) MS는 웹브라우저 엣지에 AI 모델을 통합한 ‘코파일럿 모드’를 시범 출시했다. 실행 후 첫페이지가 챗GPT와 같은 AI 대화창이다. 열려 있는 웹페이지를 사용자가 요구하는 방식에 따라 요약하거나 과거 쇼핑&
  • 개인정보위, KISA와 아동·청소년 보호 위한 APEC 워크숍 개최
    개인정보위, KISA와 아동·청소년 보호 위한 APEC 워크숍 개최
    IT 2025.07.29 12:00:00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와 함께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제3차 고위관리회의 기간 중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개인정보위와 KISA는 올해 한국의 아태협력체 의장국 수임을 계기로, 지난 3월부터 ‘아태협력체 지역 아동·청소년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정책 권고안’을 마련 중이다. 이를 위해 두 기관은 지난 6월 아태협력체 21개 회원 경제체를 대상으로 정책 현황과 사회적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 및 문헌연구를 실시했으며, 이번 워크숍은 이러한 활동의 후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