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 엔비디아 맞서나 했더니 결국…네이버·인텔·KAIST 'AI칩 동맹' 좌초
    엔비디아 맞서나 했더니 결국…네이버·인텔·KAIST 'AI칩 동맹' 좌초
    IT 2025.08.08 17:35:46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 반도체 독점을 깨기 위해 네이버, 인텔,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공동으로 진행했던 국내 대표 산학 연구 프로젝트가 무기한 중단될 위기에 놓였다. 당초 3년간 협력을 통해 엔비디아에 대항할 AI 반도체 기술을 확보할 계획을 세웠지만 최근 인텔의 경영난에 따른 투자 축소 여파로 1년 만에 차질이 불가피해진 것이다. 민간·학계가 엔비디아 독점에 맞서 고군분투하는 가운데 소버린(자립형) AI 전략을 내세운 정부 차원에서 관련 지원을 확대할 필요성도 제기된다. 8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 "박사급 AI라더니 진짜였네"…GPT-5, 수능 문제 풀었더니 국어·영어 '1등급'
    "박사급 AI라더니 진짜였네"…GPT-5, 수능 문제 풀었더니 국어·영어 '1등급'
    IT 2025.08.08 17:00:08
    GPT-5가 2025학년도 수능 문제를 풀고 수도권 상위권 대학 진학이 가능한 수준의 점수를 기록하면서 화제를 모으고 있다. 오픈AI가 7일(현지시간) 공개한 최신 대형언어모델(LLM) GPT-5가 국어, 수학, 영어 영역의 2025학년도 수능 문제를 풀고 상위권 성적을 기록했다. GPT-5는 기존 GPT-4o(플래그십 대화형 모델)와 o3(추론 특화 모델)을 결합하고 한 단계 고도화한 모델이다. 8일 GPT-5에 수능 국어(화법과 작문), 수학(미적분), 영어 영역 문항 전체를 입력하고 채점한 결과 각 영역에서 국어 95점, 수학
  • AI기본법 하위 법령 마무리 단계…업계 "규제 과도" 비판
    AI기본법 하위 법령 마무리 단계…업계 "규제 과도" 비판
    IT 2025.08.08 16:40:25
    정부가 내년 시행을 앞둔 인공지능(AI) 기본법 하위 법령을 마련하기 위한 의견 수렴을 시작한다. 하지만 업계의 반발이 심해 의견 수렴에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류제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2차관은 한국법제연구원 등이 주관해 국회에서 열린 ‘제5차 AI법제연구포럼 국회 세미나’에서 “(AI 기본법의) 하위 법령 마련 작업이 거의 마무리 됐다”고 밝혔다. 류 차관은 이날 ‘인공지능기본법의 발전방향 모색’을 주제로 열린 세미나에서 “과기정통부는 AI 기본법 시행을 앞두고 법 취지를 잘 살릴 수 있도록 하위법령 마련에 박차를 가하
  • 위메이드, 2분기 285억 원 적자…"내년까지 신작 10종 출시"
    위메이드, 2분기 285억 원 적자…"내년까지 신작 10종 출시"
    IT 2025.08.08 15:55:35
    위메이드(112040)가 올해 2분기 285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위메이드는 올 하반기 다양한 신작을 출시하며 실적 개선을 꾀하겠다는 전략이다. 위메이드는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매출로 전년 동기 대비 32% 줄어든 1168억 원을 기록했다고 8일 밝혔다. 영업손실의 경우 285억 원, 당기순손실은 283억 원으로 집계됐다. 위메이드는 “올해 1분기 국내 출시한 ‘레전드 오브 이미르’, ‘로스트 소드’ 등의 신작 효과가 줄어들고, 기존 게임 매출도 감소했다”고 밝혔다. 상반기 누적 매출로는 2587억 원을 기록했다. 이 기간
  • 네이버, 검색·쇼핑·콘텐츠 아우르는 AI 에이전트 내놓는다
    네이버, 검색·쇼핑·콘텐츠 아우르는 AI 에이전트 내놓는다
    IT 2025.08.08 11:31:15
    네이버가 검색·커머스·콘텐츠 등 자사 생태계와 연결되는 통합 인공지능(AI) 에이전트를 선보인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8일 2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AI 검색 행태에 대한 이해와 AI 기술 적용 노하우를 바탕으로 네이버 생태계 전반을 관통하는 통합 AI 에이전트를 선보이겠다”고 밝혔다. 검색과 쇼핑, 뉴스, 블로그, 카페, 치지직 등 네이버의 모든 서비스와 연결되는 AI 비서를 내놓겠다는 것이다. 최 대표는 “AI 시대에서도 필수적인 서비스로서 자리잡겠다”고 전했다. 네이버는 AI 개발에 필수적인
  • '국가대표 AI' 네이버 최수연 대표 "AI 생태계 조성 일조할 것"
    '국가대표 AI' 네이버 최수연 대표 "AI 생태계 조성 일조할 것"
    IT 2025.08.08 11:18:08
    네이버 최수연 대표가 한국 인공지능(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해 AI 생태계 구축에 기여하겠다고 8일 밝혔다. 최 대표는 이날 2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데이터센터 구축, 독자 대형언어모델(LLM) 구축, 그래픽처리장치(GPU) 운영 경험 등 네이버의 AI 서비스 역량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AI 생태계 조성에 일조하겠다”고 말했다. 네이버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추진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의 주관 사업자로 선정됐다. 네이버의 언어·음성 기반 멀티모달 기술과 트웰브랩스의 영상 AI 기술을 결합해,
  • 네이버, 스페인 '당근' 왈라팝 인수에…최수연 대표  "데이터 확보 목표"
    네이버, 스페인 '당근' 왈라팝 인수에…최수연 대표 "데이터 확보 목표"
    IT 2025.08.08 11:07:37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최근 스페인 개인간 거래(C2C) 기업 왈라팝을 인수하기로 결정한 배경에 데이터 확보 목적이 있었다고 8일 밝혔다. 유럽 사용자 기반과 거래 데이터를 확보해 인공지능(AI) 기술을 고도화하겠다는 전략이다. 최 대표는 8일 2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왈라팝 인수 전략의 중요한 축은 데이터 확보와 C2C 섹터 지속 성장 기대감”이라고 말했다. 네이버는 3억 7700만 유로(약 6045억 원)을 투입해 왈라팝 지분 70.5%를 추가 인수한다고 이달 5일 공시한 바 있다. 네이버는 2021년과 2023년 두 차례
  • LG유플러스, 2분기 영업익 3045억…전년比 20% 껑충
    LG유플러스, 2분기 영업익 3045억…전년比 20% 껑충
    IT 2025.08.08 10:47:03
    LG유플러스(032640)의 2분기 영업이익이 20% 증가했다. LG유플러스는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304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9% 증가했다고 8일 밝혔다. 매출은 3조8444억 원으로 같은 기간 10% 증가했다. 당기순이익은 2171억 원으로 31.9% 늘었다. 이번 호실적은 자원의 효율적 재배치,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생산성 향상 및 상품 차별화, 가입자 성장을 통한 매출 확대 등에 따른 결과다. 2분기 무선 사업은 가입자 순증과 5세대(5G) 핸드셋 가입 비중 증가로 전년 동기 대비 3.8% 늘어
  • LG헬로비전, 체질개선과 신사업 성장으로 영업익 41% ↑
    LG헬로비전, 체질개선과 신사업 성장으로 영업익 41% ↑
    IT 2025.08.08 10:35:04
    LG헬로비전이 렌탈 서비스와 단말기 보급 사업 확대 등에 힘입어 실적 개선을 달성했다. LG헬로비전은 8일 올해 2분기에 매출 3541억 원, 영업이익 105억 원을 달성했다고 공시했다. 전년동기대비 각각 24.9%, 41.7% 성장한 수치다. 2분기 매출은 지속 성장 중인 렌탈 서비스와 교육청 단말기 보급 사업에 힘입어 크게 증가했다. 상반기 매출은 신사업 성장이 크게 견인했다. 렌탈 부문에서는 에어컨, 제습기, 공기청정기 등 계절성 가전 판매와 직영몰의 성장으로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었고, 교육사업은 지난해 서울교육청 단말기 보
  • 최수연 네이버 대표 "AI 검색 확대…독보적 데이터 역량 있어"
    최수연 네이버 대표 "AI 검색 확대…독보적 데이터 역량 있어"
    IT 2025.08.08 09:50:40
    네이버가 검색 서비스와 인공지능(AI) 결합에 속도를 낸다. 플랫폼 역량을 강화해 AI 시대에도 성장하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8일 2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AI 브리핑이 도입된 쿼리(검색문)의 경우 이용자들의 검색결과 체류시간이 20% 이상 증가하는 등 긍정적 피드백을 받았다”며 “AI브리핑 (범위)를 당초 목표 대비 20%까지 늘리겠다”고 밝혔다. AI브리핑은 검색 결과를 요약해 제공하는 AI 검색 서비스다. 최 대표는 “하반기에는 통합 검색 개편을 통해 각 이용자에게 네이버 생태계 내에서의 사용
  • 로앤컴퍼니, 로스쿨 학생·교수 대상 무료 AI 서비스 제공
    로앤컴퍼니, 로스쿨 학생·교수 대상 무료 AI 서비스 제공
    IT 2025.08.08 09:35:56
    종합 리걸테크 기업 로앤컴퍼니는 법학 연구 발전을 위해 ‘슈퍼로이어’와 ‘빅케이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아카데믹 플랜’을 출시했다고 8일 밝혔다. 아카데믹 플랜은 최근 법학전문대학원협의회와 체결한 부속합의서에 따른 것이다. 전국 25개 로스쿨 학생과 교수들에게 연구·학술 목적으로 로앤컴퍼니의 AI 기술 기반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는 구독 상품이다. 제공 서비스는 로앤컴퍼니가 운영하는 국내 최고 법률 AI 서비스 '슈퍼로이어'와 AI 기반 통합 법률정보 서비스 '빅케이스' 두 가
  • 뤼튼, 오픈AI 최신 'GPT-5' 유료 서비스 무제한 무료 제공
    뤼튼, 오픈AI 최신 'GPT-5' 유료 서비스 무제한 무료 제공
    IT 2025.08.08 09:30:02
    AI(인공지능) 서비스 플랫폼 기업 '뤼튼테크놀로지스'가 최근 오픈AI가 공개한 거대언어모델(LLM) 서비스인 'GPT-5'의 유료 버전을 무료로 무제한 제공한다고 8일 밝혔다. 오픈AI에 따르면 GPT-5는 기존 일반 모델과 추론 모델을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해 통합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답변 제공과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하다. GPT-5는 유·무료 서비스를 병행해 출시됐는데, 무료 서비스에는 유료와 달리 사용량에 제한을 뒀다. 이에 뤼튼은 8일 오전 자사 앱과 웹 서비스를 통해 GP
  • 네오위즈, 2분기 영업익 186억 원…전년 比 292% ↑
    네오위즈, 2분기 영업익 186억 원…전년 比 292% ↑
    IT 2025.08.08 09:07:24
    네오위즈(095660)는 연결 기준 2분기 매출로 1100억 원, 영업이익으로 186억 원을 기록했다고 8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6%, 영업이익은 292% 증가했다. 구체적으로 PC·콘솔 게임 부문 매출은 575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4% 증가했다. 본편 ‘P의 거짓’에 이은 DLC ‘P의 거짓: 서곡’의 연속 흥행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모바일 게임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 증가한 440억 원이다. 출시 2주년을 맞이한 ‘브라운더스트2’가 매출 상승을 견인했다. 기타 매출은 85억 원으로
  • "Z폴드7, 50만번 접었다 펴도 끄떡없다"더니…5일간 20만번 접어본 결과는
    "Z폴드7, 50만번 접었다 펴도 끄떡없다"더니…5일간 20만번 접어본 결과는
    IT 2025.08.08 09:05:25
    국내 한 IT 유튜버가 삼성 갤럭시Z폴드7(갤폴드7)의 화면을 20만번 여닫는 실험을 종료했다고 안드로이드 오쏘리티, 씨넷 등 외신들이 최근 보도했다. 실험 결과 20만번을 접고 펼친 이후에도 디스플레이 화면(패널) 손상은 없었고, 대부분 기능이 정상 작동했다. 다만 실험 도중 스피커가 고장났다. IT 유튜브 채널 테킷(Tech-it)은 이달 1일부터 진행한 갤폴드7 20만번 접기 테스트를 5일 밤 11시 30분께 끝마쳤다. 해당 실험은 기기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화면을 여닫는 수동 방식으로 진행됐다. 테킷에 따르면 화면 접기 실험
  • KT스카이라이프, 2분기 흑자 전환…수익성 중심 전략 성과
    KT스카이라이프, 2분기 흑자 전환…수익성 중심 전략 성과
    IT 2025.08.08 08:59:42
    KT스카이라이프가 수익성 중심 경영 전략에 힘입어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KT스카이라이프가 8일 2025년 2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연결 기준 130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한 것이다. 당기순이익 또한 109억 원으로 흑자 전환하며 실적 개선 흐름을 이어갔다. 회사 측은 인터넷과 모바일 사업이 지속 성장하고 광고영업비와 커머스 비용 등 핵심 원가 절감 노력이 이어져 2분기 실적이 반등했다고 분석했다. KT스카이라이프는 핵심 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도 병행하고 있다. 자회사 ENA는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