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 "자체 통합플랫폼 '프롬튼'으로 최적의 AI 적시 공급"
    "자체 통합플랫폼 '프롬튼'으로 최적의 AI 적시 공급"
    IT 2025.09.30 14:52:41
    “AI 시대에는 1년 넘게 솔루션을 개발한 후 제공하는 방식은 통하지 않습니다. 코오롱베니트는 고객이 원하는 순간 즉각 대응해 나갈 것입니다.” 강이구 코오롱베니트 대표는 30일 서울 용산구 드래곤시티호텔에서 열린 '코오롱베니트 AX 부스트 서밋 2025'에서 회사의 AX(AI 전환) 사업 전략에 대해 이같이 설명했다. 이어 강이구 대표는 "고객의 사업을 이해하는 도메인 지식과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을 반영한 준비된 솔루션과 같은 기술적 전문성을 함께 갖춰야 솔루션 제공의 속도를 높일 수 있다"고
  • “오픈AI, 2033년엔 인도 만큼 전력 필요”
    “오픈AI, 2033년엔 인도 만큼 전력 필요”
    IT 2025.09.30 14:23:56
    천문학적인 투자를 유치해 인공지능(AI) 인프라를 구축 중인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2033년까지 250기가와트(GW) 규모 데이터센터를 확보하겠다는 구상을 내놨다. 원전 250개가 생산하는 전력으로 현 인도 총 전력 소모량과 유사한 수치다. AI가 아귀처럼 전력을 먹어치우며 선진국이 친환경 에너지 대안으로 원자력을 택하는 가운데, 한국에서는 ‘메머드급’ 기후에너지환경부가 출범하며 원전 생태계가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이어진다. 29일(현지 시간) 디인포메이션에 따르면 올트먼은 최근 사내 공지를 통해 “2033년
  • LG CNS, 'AX 페어 2025’ 개최
    LG CNS, 'AX 페어 2025’ 개최
    IT 2025.09.30 14:09:00
    LG CNS는 30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기업 고객 초청 행사 ‘AX 페어 2025’를 개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날 행사에서 LG CNS는 에이전틱 인공지능(AI)과 피지컬 AI 기반의 최신 인공지능 전환(AX) 혁신 사례를 발표했다. 이날 행사에는 다양한 산업 분야 기업 관계자 1000여 명이 참석했다. LG CNS는 기업용 에이전틱 AI 플랫폼 에이전틱웍스를 소개했다. 이 플랫폼은 6종 모듈로 구성돼 기업의 에이전틱 AI 서비스 설계·구축·운영·관리 전 주기를 지원한다. 현재 금
  • 과기부총리 17년 만에 출범…AI 국가 컨트롤타워 역할 맡는다
    과기부총리 17년 만에 출범…AI 국가 컨트롤타워 역할 맡는다
    IT 2025.09.30 14:00:40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과학기술부총리급 부처로 승격돼 인공지능(AI) 분야의 국가 컨트롤타워로 본격 출발한다. 과학기술부총리 체제가 부활하는 건 17년 만이다. 과기부총리는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맡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국무회의에서 심의·의결됐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2004년 과학기술부가 부총리 부처로 승격되면서 부총리급 직제를 신설했지만 2008년 과학기술부가 교육과학기술부로 통합되면서 폐지됐다. 이후 2013년 과기정통부(당시 미래창조과학부) 재탄생했지만
  • SK바이오팜 ‘세노바메이트’, 뇌전증 시장규모 2위 일본서 NDA 제출
    SK바이오팜 ‘세노바메이트’, 뇌전증 시장규모 2위 일본서 NDA 제출
    IT 2025.09.30 13:28:05
    SK바이오팜(326030)의 뇌전증 혁신 신약 ‘세노바메이트’가 일본에서 신약 허가 절차에 들어갔다. 30일 SK바이오팜은 파트너사인 오노약품공업이 일본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PMDA)에 세노바메이트의 신약허가신청(NDA)을 제출했다고 밝혔다. 일본의 뇌전증 환자 수는 약 100만 명에 달하며 이 중 30%는 기존 항경련제로 치료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SK바이오팜 관계자는 “세노바메이트로 일본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시하고 동북아 시장에서의 입지 확장도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NDA 제출의
  • 센서 하나로 원전 139개 지점 지진 피해 예측하는 AI 기술 개발
    센서 하나로 원전 139개 지점 지진 피해 예측하는 AI 기술 개발
    IT 2025.09.30 12:42:14
    원자력 발전소의 보조 건물에 몰려있는 배전반·비상발전기 같은 전기 설비는 진동에 취약하다. 실제 2016년 경주 지진 때도 콘크리트 건물은 멀쩡했지만 전기 설비 점검을 위해 가동을 중단한 바 있는데, 이를 일일이 점검하지 않고도 보수가 필요한 전기 설비를 신속히 가려낼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지구환경도시건설공학과 이영주 교수팀과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물리측정본부 비파괴측정그룹 이재범 박사팀은 원자력발전소 보조 건물 내 139개 세부 지점의 진동 현황을 추정하는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했다고 30일
  • 벽 기어올라 용접 척척…조선소에 '로봇 병기' 떴다
    벽 기어올라 용접 척척…조선소에 '로봇 병기' 떴다
    IT 2025.09.30 12:01:21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벽면과 천장을 자유자재로 기어다니며 용접, 도색 등 주요 작업을 대신해주는 조선업 특화 로봇을 개발해 삼성중공업 조선소에 공급하기로 했다. 정부가 인공지능(AI) 3강(G3) 도약을 위해 특히 집중하는 피지컬(물리적) AI 분야에서 국내 대표 산·학 협력을 통해 기술 개발과 상용화에 앞장서겠다는 방침이다. KAIST는 박해원 기계공학과 교수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휴보랩) 연구팀이 창업한 디든로보틱스가 삼성중공업과 ‘디든 30’ 판매 계약을 체결하고 내년 하반기 용접·검사&midd
  • 개인정보위, 제5회 '개인정보 보호의 날' 기념식 개최
    개인정보위, 제5회 '개인정보 보호의 날' 기념식 개최
    IT 2025.09.30 12:00:00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제5회 개인정보 보호의 날 기념식’을 개최했다고 30일 밝혔다. ‘개인정보 보호의 날’은 개인정보 보호법 최초 시행일인 2011년 9월 30일을 기념하는 날로서 개인정보 보호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2023년부터 법정기념일로 지정됐다. 올해 기념식은 ‘안전한 개인정보, 안심하는 인공지능(AI) 시대’를 주제로, 산·학·관 관계자 3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도록 유튜브 채널 ‘개인정보위티비(TV)’를 통해 실시간으로 중계됐다. 개인정보위는 앞으로도 AI 혁
  • 청소년 10명 중 4명 디지털 중독…3.6만명에 ‘디톡스’ 지원한다
    청소년 10명 중 4명 디지털 중독…3.6만명에 ‘디톡스’ 지원한다
    IT 2025.09.30 12:00:00
    국내 청소년 10명 중 4명 이상이 스마트폰 등을 통한 디지털 서비스에 중독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청소년 3만 6000명에게 디지털 디톡스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등 중독 문제 개선을 위한 종합 대책을 마련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0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6차 지능정보 서비스 과의존 예방 및 해소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민관이 협력해 제도 개선과 신기술 도입 등을 통해 청소년의 디지털 과의존, 즉 중독 문제를 줄이겠다는 취지다. 과기정통부는 2027년까지 청소년 과의존 위험군 비율을 현재 42.6%에서
  • "AI 강국 마중물"…국정원, 새 국가망 보안체계 보안 가이드라인 공개
    "AI 강국 마중물"…국정원, 새 국가망 보안체계 보안 가이드라인 공개
    IT 2025.09.30 11:53:34
    국가정보원이 한국의 인공지능(AI) 3대 강국(G3) 도약을 위해 새 국가망 보안체계 보안 가이드라인을 전면 공개했다. 국정원은 새 가이드라인으로 AI와 클라우드 등 첨단 정보기술(IT)을 국가망에서도 원활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국정원은 30일 ‘국가망 보안체계(N²SF) 보안 가이드라인’의 정식판을 국가사이버안보센터 홈페이지에 선보였다. 새 가이드라인은 국정원이 올해 1월 공개한 초안을 기반으로 정부·산업계·학계 등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해 보완한 정식 버전이다. 새로운 망 보안 정책의 명
  • '게임부터 AI까지'…네이버·넥슨, 콘텐츠·플랫폼 협력 추진
    '게임부터 AI까지'…네이버·넥슨, 콘텐츠·플랫폼 협력 추진
    IT 2025.09.30 11:29:54
    네이버와 넥슨이 게임·인공지능(AI)·결제·쇼핑·스트리밍까지 아우르는 콘텐츠·플랫폼 분야 협력을 추진한다. 30일 네이버와 넥슨에 따르면 양사의 방대한 데이터를 활용한 협업을 기반으로 이용자의 일상과 게임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새로운 생태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네이버과 넥슨은 우선 일차적으로 유저 계정과 결제 데이터 연결을 강화, 통합 유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넥슨캐시 충전 과정에서 네이버페이 단건, 정기 예약 결제가 가능하도록 협의한다. 양사는 네이버 플랫폼 내에
  • URL 들어간 정부시스템 장애 안내 문자는 100% 사기
    URL 들어간 정부시스템 장애 안내 문자는 100% 사기
    IT 2025.09.30 10:45:20
    국정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공공 서비스 장애가 발생한 가운데 정부를 사칭한 안내 문자 사기가 등장해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특정 웹사이트 접속링크(URL)가 포함된 문자나 안내는 100% 스미싱이다. 스미싱은 문자메시지(SMS)로 불법 URL을 보내 사용자가 악성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유도하고 이를 통해 해킹하는 수법이다. 정부는 정부시스템 장애 관련 안내와 관련해 URL이 포함된 문자를 일절 발송하지 않는다고 30일 설명했다. 만약 스미싱 의심 문자를 받았거나 문자 내 URL을 누른 이후 악성 앱 감염 등이 의심되는 경우 ‘스미
  • 셀트리온제약, 국제표준 ISO 37001?37301 통합인증 획득
    셀트리온제약, 국제표준 ISO 37001?37301 통합인증 획득
    IT 2025.09.30 10:39:28
    셀트리온제약(068760)은 한국준법진흥원(KCI)으로부터 ISO 37001(부패방지 경영시스템)과 ISO 37301(규범준수 경영시스템) 통합인증을 획득했다고 30일 밝혔다. 국제표준화기구(ISO)가 제정한 ISO 37001은 뇌물 및 부패 리스크를 식별하고 예방 및 대응을 요구하는 관리 체계다. ISO 37301은 기업의 법규 준수와 리스크 예방, 지속가능 운영체계 등을 평가하는 국제 인증이다. 셀트리온제약은 내부 규정 고도화, 임직원 대상 컴플라이언스 교육 확대, 상시 모니터링 및 내부심사 강화 등의 실질적인 활동을 인정받아
  • 삼성바이오로직스, '바이오재팬 2025' 첫 단독부스 운영
    삼성바이오로직스, '바이오재팬 2025' 첫 단독부스 운영
    IT 2025.09.30 10:36:38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가 내달 8일부터 10일까지 일본 요코하마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 바이오·제약 전시회 '바이오 재팬 2025'에 참가한다고 30일 밝혔다. 바이오 재팬은 일본 바이오협회 주최로 1986년 시작된 아시아를 대표하는 전시회 행사다. 현재는 바이오의약품, 재생의료, 디지털 헬스케어, 건강기능식품 등 바이오 산업 전반을 아우르며 규모를 지속 확대하고 있다. 올해는 총 1139개 기업, 1만 8000명 이상의 인원이 행사장을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 행사에 3년 연속 참가한 삼성
  • 李대통령 "모든 부처, 보안·안전 시스템 점검해 내주까지 제출"
    李대통령 "모든 부처, 보안·안전 시스템 점검해 내주까지 제출"
    IT 2025.09.30 10:10:52
    이재명 대통령이 30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피해와 관련해 전 정부 부처에 “중요한 보안·안전 시스템은 전부 점검해서 다음 주 국무회의때까지 제출하라”고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고 정말 이해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이중 운영장치가 당연히 있어야 하는데 민간기업도 하는 것을 지금까지 안 하고 있던 것을 모른 제 잘못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각 부처들은 소속과 산하 기관들이 담당 업무중에서 특히 보안, 국민 안전을 위한 각종 시설 시스템이 매뉴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