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 [기자의 눈] 조선·철강업계 상생이 절실한 이유
    [기자의 눈] 조선·철강업계 상생이 절실한 이유
    기업 2025.03.17 18:56:55
    “한국은 철강 3위 수출국인 동시에 2위 수입국입니다. 미국이 남의 철강을 써서 제품을 만들어 파는 걸 문제 삼으면 한국 철강 산업은 더 큰 피해를 볼 수밖에 없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철강·알루미늄에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며 보호무역주의를 강화하자 국내 철강 산업에 대해 한 석학은 이같이 평했다. 철강은 관세를 매기기 가장 쉬운 품목이지만 한국은 철강 수출과 수입 규모가 모두 커 관세전쟁에서 상당히 취약한 구조라는 의미다. 한국은 2023년 생산한 철강 6668만 톤 중 2704만 톤을 해외에 수
  • "폐점도 영업도 쉽지않아"…손발 묶인 홈플러스 입점업체들
    "폐점도 영업도 쉽지않아"…손발 묶인 홈플러스 입점업체들
    생활 2025.03.17 18:29:00
    수도권에 위치한 홈플러스에서 아동복 매장을 운영하는 점주 A씨는 최근 폐점을 결정하고 홈플러스 측에 보증금 반환을 요청했지만 답변을 받지 못했다. 그는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에 들어간 후 불안한 마음으로 계속 영업하기 보다는 일찌감치 발을 빼는 게 낫겠다는 생각”이라면서 “보증금을 빨리 돌려받고 싶은데 답이 없어 답답하다”고 말했다. 홈플러스 임대점주(테넌트)들이 정상화 여부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폐점’과 ‘영업 지속’ 사이에서 진퇴양난에 빠졌다. 홈플러스 대주주인 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이 사재를 출연해 소상공인 결제대금 조기 지
  • 민간 우주발사체 기업 이노스페이스, '한빛-나노' 발사대 독자 개발
    민간 우주발사체 기업 이노스페이스, '한빛-나노' 발사대 독자 개발
    IT 2025.03.17 18:27:06
    민간 우주발사체 기업 이노스페이스(462350)가 위성 발사체 ‘한빛-나노’ 발사에 필요한 발사대를 독자 개발하고 본격적인 민간 위성 발사체 발사 준비에 돌입한다. 이노스페이스는 발사대와 발사체 체계 연동 시험을 마치고 올 5월 브라질 알칸타라우주센터에 설치 작업을 시작할 계획이다. 이노스페이스는 위성 발사체 ‘한빛-나노’ 발사에 필요한 발사대를 독자 개발하고 발사체와 체계 연동 시험을 마쳤다고 17일 밝혔다. ‘한빛-나노’는 탑재체를 고도 500㎞ 궤도에 투입하는 길이 21.8m, 지름 1.4m의 2단형 우주발사체로, 정부가 우주
  • KAIST 연구팀, 리튬이온 배터리 충전시간 단축 기술 개발
    KAIST 연구팀, 리튬이온 배터리 충전시간 단축 기술 개발
    IT 2025.03.17 18:26:16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최남순·홍승범 교수 공동 연구팀이 리튬이온 배터리의 리튬이온 이동을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전해질 용매 ‘아이소부티로니트릴(isoBN)’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전기차 등에 쓰이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크게 양극과 음극, 액체 전해질로 구성된다. 기존 전해질 용매로 쓰이는 에틸렌카보네이트(EC)는 높은 점성과 강한 용매화(리튬이온이 전해질을 이동할 때 둘러싼 용매가 함께 이동하는 현상) 특성 때문에 고속 충전 시 리튬이온의 원활한 이동을 방해한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음극 계면층(SEI&
  • 알테오젠, AZ에 2조 기술이전…"특허분쟁 우려 해소"
    알테오젠, AZ에 2조 기술이전…"특허분쟁 우려 해소"
    기업 2025.03.17 18:09:11
    알테오젠(196170)이 아스트라제네카와 약 2조 원 규모의 초대형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다. 또 다시 피하주사(SC) 제형 변경 기술력을 입증한 것이다. 이로써 알테오젠이 글로벌 대형 제약사와 체결한 전체 계약 규모는 약 9조 원 수준으로 늘었다. 일각에서 제기하는 경쟁사 미국 할로자임테라퓨틱스와의 특허 분쟁 우려도 불식시켰다는 평가가 나온다. 알테오젠은 아스트라제네카와 SC 제형 변경 플랫폼 ‘ALT-B4’의 독점적 라이선스 계약 2건을 체결했다고 17일 공시했다. 아스트라제네카의 글로벌 바이오 연구개발(R&D) 부문 자회사인
  • 산업 전기료, 세계 최하위…'K제조업 버팀목' 된 한전
    산업 전기료, 세계 최하위…'K제조업 버팀목' 된 한전
    산업일반 2025.03.17 18:05:20
    한국의 산업용 전기요금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핵심 제조업의 수출 경쟁력을 공기업인 한국전력이 뒷받침해왔다는 분석이 나온다. 17일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한국의 2023년 평균 산업용 전기요금은 ㎿h당 122.1달러로 2020년(94.3달러) 대비 29.5% 상승했다. 주택용 전기요금 역시 같은 기간 ㎿h당 103.9달러에서 130.4달러로 25.5% 올랐다. 연평균 8~9%씩 산업·주택용 전기요금을 인상한 셈이다. 인상률만 보면 우리나라 요금이 상
  • 중대사고 확률 100만분의 1…'종주국' 美도 유일하게 인정한 K원전
    중대사고 확률 100만분의 1…'종주국' 美도 유일하게 인정한 K원전
    산업일반 2025.03.17 18:04:15
    한국이 개발한 독자 원전인 ‘APR1400’에 따라붙는 수식어는 ‘가장 안전하고 가장 경제적인 가압경수로’다. 한국이 처음으로 스스로 만들어낸 한국형 표준 원전(OPR1000)에서 발전 용량을 키우고 각종 안전 장비를 강화한 덕에 국제 기준에 비춰 봐도 APR1400보다 나은 노형을 찾기 어렵다는 의미다. 원전 업계의 한 관계자는 17일 “정치적 요인을 빼고 순수하게 기술적 측면만 보면 APR1400을 선택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단언했다. 실제 미국 외 국가에서 만들어진 원전 중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의 설계 인증을 받
  • 원전 3대 핵심설비 국산화…100년 뒤에도 '안전한 전기' 만든다
    원전 3대 핵심설비 국산화…100년 뒤에도 '안전한 전기' 만든다
    산업일반 2025.03.17 18:03:35
    울산 울주군에 위치한 새울원자력발전소는 최근까지 주 출입구를 2개 운영했다. 공정률 96.1%를 기록하고 있는 새울 3·4호기 작업 차 하루에도 수백 명의 근로자가 오가고 자재 트럭이 드나드는 탓이다. 번잡한 공사 현장이지만 최고 등급의 보안 시설에 어울리게 모든 출입자가 두 차례에 걸친 신원 확인 작업을 거친 뒤에야 현장으로 향할 수 있었다. 새울 3·4호기 옆으로는 한국형 차세대 가압경수로 APR1400 모델이 처음으로 적용된 새울 1·2호기가 쉴 새 없이 전기를 생산하고 있었다. 가동된 지
  • 이번엔 바이두…딥시크 반값 '어니 X1' AI 모델 내놨다
    이번엔 바이두…딥시크 반값 '어니 X1' AI 모델 내놨다
    IT 2025.03.17 18:02:31
    ‘중국의 네이버’로 불리는 바이두가 새로운 추론형 인공지능(AI)을 딥시크의 절반 가격에 내놓았다. 딥시크가 촉발한 AI 사용료 ‘가성비 전쟁’이 치열해지면서 미국 거대 기술 기업인 빅테크들의 고민도 깊어지는 양상이다. 16일(현지 시간) 미국 정보기술(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중국 바이두는 전날 신형 AI ‘어니(Ernie) 4.5’와 ‘어니 X1’을 공개했다. 이 중 어니 X1은 바이두가 선보인 첫 추론형 AI 모델이다. 바이두는 “어니 X1은 딥시크 추론 모델인 R1과 동등한 성능인 반면 가격은 절반”이라고 강조했
  • 진흥원 "디자인 강화로 혁신제품 창출"…올 150억 투입
    진흥원 "디자인 강화로 혁신제품 창출"…올 150억 투입
    중기·벤처 2025.03.17 17:48:01
    한국디자인진흥원(이하 진흥원)이 올해 약 150억 원을 투입해 국내 기업의 디자인 경쟁력 강화를 지원한다. 중소·중견 제조기업과 디자인기업의 협업을 지원하는 것부터 ‘스타일테크’ 유망기업 육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했. 진흥원은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기업 디자인 경쟁력 강화를 위한 ‘2025년 기업지원사업’을 진행한다고 17일 밝혔다. 사업은 △디자인-기술협업 전주기 지원사업 △디자인-기술협업 인력 지원사업 △스타일테크 유망기업 선정 △디자인전문기업 및 글로벌화(육성부문) △디자인전문기업 금융지원사업 △디자인
  • 中 견제에 확장성마저 부족…날개 꺾인 K게임
    中 견제에 확장성마저 부족…날개 꺾인 K게임
    IT 2025.03.17 17:47:31
    2023년 국내 게임 수출 규모가 2000년 이후 23년 만에 역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게임사들이 글로벌 선호도가 낮은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에 집중하는 사이 중국 게임사들이 무섭게 추격하면서 ‘K-게임’의 자리를 위협하고 있다. 17일 한국콘텐츠진흥원의 ‘2024 대한민국 게임백서’에 따르면 2023년 국내 게임산업 수출액은 83억 9400만 달러(약 10조 9576억 원)로 전년 대비 6.5% 줄었다. 한국 게임의 수출이 감소한 것은 2000년 이후 처음이다. PC, 모바일 등 플랫폼 전 부문에서 수출 규모가
  • 가격 32% 치솟자…'코발트 프리' K배터리 상용화 속도
    가격 32% 치솟자…'코발트 프리' K배터리 상용화 속도
    기업 2025.03.17 17:46:00
    주요 배터리 원자재인 코발트 가격이 급등하면서 국내 배터리 업계가 코발트 없는 소재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코발트 공급을 거의 독점하는 콩고민주공화국(민주콩고)의 수출 제한으로 인해 공급망 리스크가 높아지면서 망간이나 나트륨 등 전 세계에서 매장량이 풍부한 자원에 기반한 대체 소재를 상용화하겠다는 구상이다. 17일 한국자원정보서비스에 따르면 코발트 국제 가격은 이달 11일 기준 파운드당 18.5달러로 전주 대비 32.1% 상승했다. 지난해 초 이후 처음으로 나타내는 가파른 가격 상승세로 코발트 가격이 18달러대로 들어선 것은
  • 보폭 넓히는 키움인베스트, 해외 모펀드 만든다
    보폭 넓히는 키움인베스트, 해외 모펀드 만든다
    중기·벤처 2025.03.17 17:45:30
    국내 벤처캐피털(VC)인 키움인베스트먼트가 해외 스타트업 투자를 목적으로 싱가포르와 일본에 대규모 벤처 모(母)펀드를 결성한다. 키움인베스트는 해외 벤처캐피털(VC)이 조성하는 스타트업 투자 펀드에 출자자로 참여해 글로벌 투자 동향을 살피는 동시에 국내 스타트업들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교두보 역할을 하겠다는 계획이다. 17일 벤처 업계에 따르면 키움인베스트먼트는 오는 4월 싱가포르와 일본에 각각 500억 원, 300억 원 규모 벤처 모펀드를 결성한다. 모펀드는 일반적인 펀드와 다르게 직접 투자보다는 펀드의 출자자로 참여해 간접 투
  • 한화에어로, 네이버 제치고 시총 8위로[마켓시그널]
    한화에어로, 네이버 제치고 시총 8위로[마켓시그널]
    산업일반 2025.03.17 17:45:11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가 네이버(NAVER(035420))를 제치고 코스피 시가총액 8위 자리로 올라섰다. 1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가는 이날 6.8% 올라 종가 기준 시가총액이 34조3200억 원으로 집계됐다. 네이버의 시총 33조4302억 원 보다 약 8900억 원 많았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전신은 삼성테크윈이다. 한화그룹은 지난 2015년 삼성그룹에서 삼성테크윈을 인수해 한화테크윈으로 상호를 변경했다. 이듬해 두산DST를 인수하며 사업영역을 확장, 한화디펜스로 새롭게 출범했다. 이 회사가 201
  • 셀트리온제약, 지난해 매출 4778억원…"역대 최대"
    셀트리온제약, 지난해 매출 4778억원…"역대 최대"
    산업일반 2025.03.17 17:38:06
    셀트리온제약(068760)이 지난해 매출액이 전년 대비 22.9% 증가하며 역대 최고 실적을 경신했다. 17일 셀트레온제약은 지난해 매출액 4778억원, 영업이익 372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액은 전년 대비 22.9% 증가하며 역대 최고 실적을 경신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보다 3.2% 증가했다. 회사 측은 “주요 제품 선전과 신규 제품들의 매출 비중이 증가하며 성장을 이끌었다”며 “인력 확충, 연구개발비 증가 등에도 영업이익 성장을 실현했다”고 설명했다. 세부적으로 케미컬 사업 부문 매출액은 전년 대비 23% 증가한 약 2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