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4월 말 현재 외환보유액은 3,699억 달러로 한 달 전보다 71억5,000만 달러 증가했다.
외환보유액은 작년 7월(3,680억달러)까지 증가세를 보인 이후 미국 달러화 강세로 유로와 파운드화 표시 자산의 달러화 환산 가치가 줄면서 감소세로 돌아섰다.
올해 1월 3,622억 달러로 떨어졌던 외환보유액은 이후 증가세로 돌아섰다가 4월 들어 최고치를 다시 경신했다.
한은은 “미국 달러화를 제외한 다른 통화의 강세로 외화자산의 달러화 환산액이 증가한 것이 외환보유액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4월 한 달간 세계 금융시장에서 호주 달러화는 미국 달러화 대비 4.5% 절상됐다. 파운드화(4.2%), 유로화(2.6%), 엔화(0.9%)도 미국 달러 대비 가치가 올랐다.
4월 말 기준 외환보유액을 자산 유형별로 보면 유가증권(국채·정부기관채·회사채·자산유동화증권 등)이 3,395억1,000만 달러로 전달보다 89억8,000만 달러 늘었다. 유가증권이 전체 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91.8%에 달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의 특별인출권인 SDR(209억7,000만 달러)도 전달 대비 3,000만 달러 증가했다.
반면에 예치금(209억7,000만 달러)과 IMF에서 교환성 통화를 수시로 찾을 수 있는 권리인 IMF포지션(14억6,000만 달러)은 각각 18억3,000만 달러, 3,000만 달러 감소했다.
금 보유액은 전달과 같은 47억9,000만 달러를 유지했다.
3월 말 기준으로 한국의 외환보유액 순위는 브라질(3,627억달러)을 제치고 6위로 올라섰다.
이는 2010년 8월 이후 4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순위이다.
당시 공식 외환보유액은 5위였지만 사우디아라비아가 작년 말부터 공식 통계에 편입된 점을 고려하면 실질적으로는 6위 수준이었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중국(3조7,300억달러), 일본(1조2,453억달러), 사우디(6,980억달러), 스위스(5,824억달러), 대만(4,178억달러) 등 5위권 이내 국가는 지난달과 비교해 순위 변동이 없었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