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부동산 시장에 '역세권 르네상스' 시대가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시가 오는 2020년까지 서울에서 지어지는 주택 4채 중 1채를 역세권에 짓기로 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현재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는 역세권 고밀개발 사업에 드라이브가 걸릴 것으로 보인다. 9일 서울시가 내놓은 '2020주택종합계획'에 따르면 시는 앞으로 10년 동안 약 72만가구의 신규 주택을 공급할 계획이다. 이중 역세권에서 공급되는 주택의 비중은 전체 25%인 18만1,087가구에 달한다. 역세권 개발이 활성화되지 않으면 주택공급이 확 줄어들 수밖에 없는 구조인 것이다. 시는 현재 주변지역에 개발 가능지가 있는 역이 총 210곳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시내 전체 지하철역이 293곳(중복 환승역 포함)임을 감안하면 역세권 대부분이 개발 대상지로 분류된 셈이다. 시 관계자는 "새로 집을 지을 땅이 부족한 상황에서 수요자가 많은 역세권 주변에 소형 주택을 늘리는 게 정책 목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역세권 뉴타운 가능 지역 하반기 중 선정=서울시의 역세권 개발은 ▦역세권 뉴타운 ▦역세권 시프트 공급 확대 등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뉠 것으로 전망된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특히 새로운 유형의 개발방식인 역세권뉴타운(고밀복합형 재정비촉진지구)의 공급 잠재력이 가장 클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역세권뉴타운은 지난해 6월 국토부해양부가 발의한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 시행령'이 국무회의를 통과하면서 시행된 제도로 ▦국철ㆍ지하철ㆍ경전철 등이 2개 이상 교차하는 역세권 ▦철도ㆍ지하철ㆍ버스전용차로가 3개 이상 교차하는 지점이 반경 500m 이내가 지정 범위다. 시는 지난해 시정개발연구원에 역세권뉴타운 지정을 위한 연구용역을 발주했고 이 용역은 10월 마무리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지정 요건을 충족하는 역세권 일대를 일일이 검토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지하철역 주변 준주거지역 및 제3종일반주거지역 등이 역세권 뉴타운 후보지로 거론된다. 시가 역세권뉴타운 지정을 추진하는 이유는 지구단위계획에 따른 도시환경정비사업 등으로만 역세권 정비사업을 추진할 경우 난개발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김호철 한국지역개발학회장은 "수요가 많은 도심에 소형주택 공급을 늘리는 것은 세계적 추세"라며 "다만 공원이나 공공시설 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뉴타운과 같이 개발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역세권 시프트 사업 활성화될 듯=역세권 개발의 또 다른 트랙인 역세권 시프트 공급 역시 활성화될 방침이다. 역세권 시프트는 해당 지역에 시프트(장기전세주택)를 짓는 조건으로 용도지역 상향 및 용적률 인센티브를 줘 고밀 개발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시는 지난 5월 '역세권 장기전세주택 건립 관련 지구단위계획 수립 및 운영기준'을 개정해 사업 최소 규모를 3,000㎡로 축소하고 추진절차도 간소화했다. 하지만 최근 부동산경기가 워낙 침체돼 있어 이러한 방식의 개발이 속도를 낼지는 미지수다. 예를 들어 역세권 도시환경정비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지하철9호선 염창역ㆍ등촌역 일대의 경우 시와 양천구가 구역 지정 면적을 두고 의견 조율을 마치지 못해 사업 추진 일정이 늦어지고 있다. 목동 D공인 관계자는 "역 개통 이후 짭짤한 임대수익을 거두고 있는 단독주택 등이 많아 조합 설립 등에서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며 "개발계획이 확정돼도 집값이 오를지 불확실한 게 가장 큰 문제"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