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망은 밝은 편이다. 다양한 형태의 정상외교 활동이 펼쳐지는 만큼 한반도 평화에 대한 국제사회의 폭넓은 지지를 확보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정상외교의 탄력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 역시 고무적이다. 박 대통령의 중국 전승절 및 열병식 참가로 외교적 이니셔티브가 보다 굳어진 마당이다. 탄력 받은 박 대통령의 외교 행보는 10월 말께 열릴 한·중·일 정상회담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한국의 주도적 역량이 이만큼 발휘된 전례를 찾기 어려울 만큼 최근 박 대통령의 외교성과는 높은 점수를 받아 마땅하다. 그러나 잘 나갈 때일수록 조심해야 할 필요가 있다. 더욱이 통제 불가능한 변수도 적지 않다. 크게 세 가지 변수가 도사리고 있다. 무엇보다 북한이 노동당 창건 70주년을 앞두고 대놓고 핵 및 미사일 도발 위협의 수위를 끌어 올리는 상황이다. 두 번째로 ‘전쟁을 할 수 있는 나라’로 변한 일본을 이끄는 아베 신조 총리의 과거사 인식에 막혀 한·일관계가 답보 상태다. 세 번째, 25일 열릴 미·중 정상회담의 결과가 우리의 이해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황이 불투명할수록 외교의 목표는 분명해야 한다. 유엔 창설 70주년을 맞아 비중 있는 국가의 정상들이 대거 참가하는 자리에서 북한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통일에 대한 공감대를 얻는 것만으로도 성과로 평가할 수 있다. 과도한 기대나 포장은 금물이다. 대통령의 중국 방문 자체는 성공적이나 그 직후 일부 각료와 청와대 참모들처럼 과잉 홍보에 나선다면 되레 치적이 깎여나갈 수 있다. 상대에게 얕잡아 보일 수 있다는 점을 모른다는 말인가. 우방의 불필요한 오해를 살 수도 있다. 차분하고 냉정한 자세가 필요한 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