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7년 미국 국방부는 사막에서 280㎞를 주행할 수 있는 무인자동차 경주대회를 열어 1등에게 200만달러의 상금을 수여했다. 미 항공우주국(NASA)도 항공우주 분야의 7대 난제(難題) 기술 과제에 최고 200만달러의 현상금을 내걸고 있다. 정부가 30억원의 포상금을 걸고 국가 차원에서 기술난제 해결에 나선다. 지식경제부는 9일 민간의 연구개발(R&D) 투자를 유도하고 도전적인 기술혁신을 위해 정부 연구개발 포상금제도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정부가 주도하는 연구개발에 포상금이 내걸리기는 처음이다. 이 제도는 국가가 해결하고자 하는 난제기술을 공모하고 정부가 기술개발 목표와 포상금을 제시한다. 이후 연구기관이나 개인이 창의성과 경쟁을 통해 기술을 개발하면 정부는 평가를 거쳐 사후적으로 포상금을 지급한다. 일종의 대(對)국민 연구개발 경진대회가 되는 셈이다. 포상 규모는 무인주행 자동차나 휴대용 연료전지 등 기술장벽으로 생각되는 한계 돌파형 과제에 최고 30억원이 주어진다. 또 휴대용 정수기나 100달러짜리 노트북처럼 기존 기술을 활용하더라도 창의적이고 기상천외한 제품을 개발할 경우 최고 5억원이 지급된다. 미국 등 선진 R&D 개발국에서는 연구개발 포상금제도가 정착돼 활용되고 있다. 미국은 무인자동차 개발뿐 아니라 휴대용 전력장치를 개발하기 위해 2008년에는 무게가 4㎏ 이하이고 96시간 동안 평균 20W의 전력을 생산하는 전력 시스템 개발 과제에 100만달러의 상금을 내걸기도 했다. NASA는 달에서 흙을 이용해 우주에서 8시간 이내에 산소를 5㎏ 추출할 수 있는 기구제작 등 7개 과제에 각 5만~200만달러를 걸어놓고 있다. 일본의 경제산업성도 신형 인플루엔자 검사 키트를 개발한 연구자라면 누구에게나 2억5,000만엔을 지급하는 대국민 과제를 공모했다. 불특정 다수의 '집단지성(crowdsourcing)'을 활용해 국가 차원의 난제기술 해결책을 모색하는 것이다. 지경부는 오는 8월까지 과제 수요 조사를 진행하고 산학연 전문가 12명으로 구성된 과제선정위원회를 거쳐 12월 중 한계 돌파형 기술과 창의성 분야의 2개 과제를 공고할 계획이다. 연구개발 기간은 과제 공고 후 3년 이내다. 지경부는 이후 전문위원회를 구성, 과제를 평가해 분야별로 3위까지 포상금을 차등 지급한다. 최우수 과제는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연구개발도 지원할 계획이다. 대상은 국내의 연구기관이나 컨소시엄, 개인 누구나 가능하고 해외기업이나 연구소 등도 국내 연구자들이 주도하는 성격이면 참여가 가능하다. 지경부 관계자는 "내년부터는 매년 1개 이상의 과제에 대해 포상금 제도를 도입하고 추진 경과를 봐가며 점진적으로 확대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