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간 나오토(菅直人) 전 총리가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 사고 당시 수도인 도쿄가 궤멸할지 모른다는 위기감을 느꼈다고 회고했다. 도쿄신문은 6일 지난 2일 퇴임한 간 전 총리와의 인터뷰 기사를 실었다. 이에 따르면 간 전 총리는 “도쿄전력이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 직후 원전에서 직원들을 철수하려 했었다”면서 “만약 사태 수습에 나서지 않고 도쿄전력이 원전에서 손을 뺐다면 지금 도쿄는 인적이 없는 상태가 됐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그는 동일본대지진 4일 후인 3월 15일 오전 당시 가이에다 반리(海江田万里) 경제산업상으로부터 도쿄전력이 원전에서 철수해 대피하려 하고 있다는 보고를 받고 바로 시미즈 마사타카(淸水正孝) 사장을 불러 도쿄전력 본점에 정부와 도쿄전력의 통합대책본부를 설치하도록 했다고 밝혔다. 간 전 총리는 당시 도쿄전력이 후쿠시마 제1원전과 제2원전에서 철수하도록 방치했었다면 수십 시간 내에 냉각수가 고갈돼 원자로의 멜트다운(노심용융)이 진행되면서 대량의 방사성 물질이 유출될 수 있는 상황이었다고 회고했다. 그는 “당시는 일본이 국가로서 성립할 수 있느냐의 기로였다”면서 “옛 소련의 체르노빌 사고의 수배, 수십배의 방사성물질이 유출됐을지 모른다”고 말했다. 그는 가장 위기감을 느낀 시기는 원전 사고 후 1주간이었다면서 “도쿄에 사람 한 명 살지않는 정경이 머릿속에 어른거렸고, 정말 등에 식은땀이 났다”고 당시의 불안감을 토로했다. 그는 “원전 사고 전에는 원전을 활용해야 한다는 생각이었고, 나 자신 일본의 기술이라면 괜찮다고 생각했지만 사고를 경험한 뒤 생각이 바뀌었다”고 탈(脫) 원전으로 선회한 배경을 설명했다. 간 총리는 “10만명 20만명이 피난하는 것도 엄청난 일인데 3,000만명(수도권 인구)이 피난하게 된다면 피난할 곳이 없기 때문에, 이런 리스크를 커버하기 위해서는 원전에 의존하지 않는 방법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시즈오카(靜岡)현 하마오카 원전 가동 중단 결정에 대해 “하마오카는 지진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어 특별한 경우였다”면서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전의 안전성 기준으로 가동해선 안된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는 원전 사고 당시 관련 정보가 제대로 총리 관저에 보고되지 않았다면서 “수소폭발의 경우 원자력안전위원회는 ‘격납용기는 질소로 채워졌기 때문에 수소폭발은 있을 수 없다’고 얘기했지만 실제 원자로 건물내에서 폭발이 일어났다”고 설명했다. /온라인뉴스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