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IT 글로벌 대도전] IT코리아 `세계를 품안에“
입력2003-10-13 00:00:00
수정
2003.10.13 00:00:00
오현환 기자
`비좁은 내수시장을 벗어나 세계를 품안에`
한국의 IT(정보기술)군단이 세계를 향해 거침없는 행진을 펼치며 `IT강국`한국의 명성을 세계 곳곳에서 드높이고 있다.
전세계 휴대폰 4개중 한 개는 한국산 제품이 차지하고 있으며 온라인 게임의 종주국으로 자리잡은 지 이미 오래다. IT기업들이 일찍부터 글로벌화에 핵심역량을 집중시키며 세계로 뻗어나간 덕택이다.
더욱이 최근 내수시장의 한계, 높은 인건비, 성장의 정체 등 먹구름 가득한 국내 경제환경 속에서 글로벌화는 선택이 아니라 생존의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침체된 환경에 안이하게 대응할 경우 생존하지 못할 것이라는 위기감에 휩싸여 있는 것이다.
수출전선에서도 IT군단의 활약이 두드러지고 있다. IT산업의 수출실적은 지난 8월 49억 달러로 불어난 데 이어 9월에도 50억 달러를 돌파하는 등 두 달 연속 사상 최고치 경신행진을 지속하고 있다. 휴대폰을 선두주자로 내세운 국내 IT산업의 막강한 저력이 본격적인 기염을 토하고 있는 셈이다.
세계적으로 IT제품에 대해 관세를 면제해주는 추세가 확산되면서 글로벌화 작업도 한층 급물살을 타고 있다. 시스템 통합(SI)업계, PC와 주변기기 등 하드웨어(HW)업계는 물론 대표적 내수산업인 통신서비스업체들까지 해외 진출에 매달리고 있다.
최지성 삼성전자 총괄 부사장은 “산업이 고도화할수록 생산기지는 값이 싼 곳을 찾아가고 국내에서는 R&D(연구ㆍ개발)와 마케팅중심의 조직만 남게 된다”며 글로벌화의 불가피성을 강조했다.
◇SI, 해외서 이름 날린다=국내 SI(시스템통합)시장은 그룹 계열사들에 대한 전산망 구축이 완료됐고 대법원ㆍ국세청 등 대형 공공시스템 구축도 일단 마무리된 상태. 여기다 IBM, 썬, HP 등 글로벌 기업들이 물량공세까지 퍼붓고 나섰다.
이에 따라 SI업체들은 탈출구로 해외 진출을 서두르고 있다. 지난 99년 8월 현대정보기술의 베트남 중앙은행 지급결제시스템 구축사업을 신호탄으로 올 들어서만 수천억원대 규모의 해외 SI사업을 따내는 등 기대 이상의 성과를 올리고 있다. 일부 업체들은 일단 계열사의 해외지사를 대상으로 전산시스템 구축에 첫발을 내딛으며 서서히 역량을 비축해가고 있다.
◇세계 곳곳에 생산기지 세운다=PC제조업체들은 대체로 원가절감과 물류비 절감을 위해 수출용 생산기지를 해외에 이전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 4월말 중국의 PC생산 공장을 가동하면서 국내에서 생산하던 수출물량을 단계적으로 중국공장으로 이전하기로 결정했다. 삼보컴퓨터는 멕시코, 중국, 네덜란드, 호주 등 4곳에 생산공장을 갖고 있는 등 생산기지의 글로벌화가 더욱 성숙돼 있다. 매출의 70%에 달하는 수출물량의 대부분을 현지에서 생산하고 있다.
최근 들어서는 비용절감을 위해 해외 기업에 아웃소싱하는 역 OEM(주문자상표부착) 방식까지 활용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중국 현지업체인 신봉전자로부터 LCD모니터 100만대를 OEM방식으로 조달했으며 최근 일본 NEC로부터 3년간 첨단 PC서버인 `익스프레스 5800 시리즈` 300대를 OEM으로 공급 받아 국내에 시판키로 했다.
경쟁력에서 밀리는 상품의 경우 아예 외국기업에 합병시키는 등 글로벌 제휴 체결도 잇따르고 있다.
◇통신서비스도 해외 눈돌린다=그 동안 내수시장에만 파묻혀 있던 통신서비스업체들도 해외공략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KT는 올들어 베트남에 초고속인터넷을 공급하고 중국의 차이나 유니콤에 통화연결음서비스를 공급하는 등 3,500억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오는 2005년까지 6,000억원 어치를 달성한다는 야심찬 구상을 갖고 있다. 러시아 사할린 지역에는 최대의 이동통신서비스업체에 대한 경영권을 확보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운영 노하우와 무선인터넷을 상품화시켜 해외시장 진출을 시도하고 있다. 지난 3월 차이나유니콤과 무선인터넷 합작법인 설립계약을 맺고 올해 안에 독자 브랜드로 차이나유니콤 가입자에게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또 무선인터넷 성장잠재력이 높은 북미, 남미, 유럽의 CDMA 및 유럽형이동전화(GSM)사업자를 대상으로 플랫폼 수출을 늘려나갈 계획이다.
<오현환기자 hhoh@sed.co.kr>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