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그리스, 다시 불거지는 디폴트 위기

8일 마감에도 민간 채권단 국채교환 참여 저조<br>정부 "돈안갚겠다" 협박… 최악 사태는 피할듯


그리스 민간 채권단의 국채교환 참여 마감시한(현지시각 8일 자정)이 임박하면서 그리스의 운명이 또다시 갈림길에 섰다. 채권단의 참여율이 3분의2에 못 미칠 경우 그리스는 디폴트(채무불이행)를 맞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물론 6일 현재 20%에 불과한 채권단의 참여율이 마감시한이 다가갈수록 올라가면서 그리스가 국가부도라는 최악의 사태는 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하지만 그리스 정부가 국채교환에 참여하지 않는 채권단에는 돈을 갚지 않겠다고 협박할 정도로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다.

6일 파이낸셜타임스(FT)는 헤지펀드 등 국제법에 준거해 발행된 그리스 국채를 매입한 투자자들이 국채교환 협상에 참여하지 않을 것으로 분석했다. 이들은 보유 국채를 새 국채로 교환할 경우 손실률이 75%에 달하기 때문에 참여가 어렵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국제법에 따라 발행된 그리스 국채는 전체 민간보유 국채(2,060억유로)의 약 14%에 달한다.

그리스 언론인ㆍ경찰ㆍ자영업자ㆍ호텔종사자 등 4개 연기금도 노조의 압박으로 국채교환에 불참하기로 했다고 로이터통신이 이날 보도했다. 4개 연기금이 보유한 그리스 국채는 총 20억유로로 전체의 약 1%를 차지한다.

이처럼 민간 채권단들의 참여가 부진하자 6일 그리스 재무부 국채관리국은 성명을 통해 국채교환에 참여하지 않는 채권단에는 채무이행을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국채교환에 참여해 투자금 일부라도 챙기는 것이 디폴트로 한 푼도 회수하지 못하는 것보다는 낫지 않느냐는 압박인 셈이다. FT는 그리스의 이 같은 위협이 국제법에 준거해 발행한 채권의 투자자들을 겨냥한 것으로 분석했다.

그리스 정부가 유럽연합(EU), 국제통화기금(IMF)과 합의한 2차 구제금융 1,300억유로를 지원받기 위해서는 민간 채권단이 보유한 그리스 국채를 절반가량인 1,070억유로로 탕감해야 한다. 이는 민간 채권단의 90% 이상이 국채교환에 참여해야 가능한 금액이다. 그리스는 자국의 6개 주요 은행과 8~9개의 연기금 등을 포함해 민간 채권단의 국채교환 참여율이 90%를 상회할 것으로 낙관하고 있지만 희망사항일 뿐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지금까지 참여 의사를 밝힌 투자자는 20%에 불과하다. 민간 채권단을 대표하는 국제금융협회(IIF)는 5일 BNP파리바ㆍ도이체방크ㆍ그리스국립은행 등 12개 금융기관이 참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6일에는 소시에테제네랄ㆍ유니크레디트 등 3개 금융기관이 가세했다.

국채교환을 성사시키기 위해 그리스 정부는 국내법에 따라 발행된 국채 투자자들(86%)에 대해서는 집단행동조항(CAC)을 적용하겠다고 경고했다. 이 조항을 적용하면 전체 채권단의 3분의2가 찬성할 경우 국채교환을 할 수 있다. CAC가 적용될 경우 지급실패ㆍ채무불이행 등을 의미하는 '신용사건'으로 판단돼 크레디트디폴트스와프(CDS)에 가입한 그리스 채권자는 보증금을 지급받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불확실성을 키워 시장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일부에서는 국채교환 참여율이 66%에 못 미쳐 결국 그리스가 디폴트로 이어질 것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마저 제기하고 있다. 특히 IIF가 내부 기밀보고서에서 "그리스 국채교환이 실패하면 유로존에 대한 충격이 1조유로를 상회할 수 있다"고 경고한 것으로 드러나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보고서는 그리스가 '무질서한 디폴트'에 빠지면 유럽중앙은행(ECB)이 자본의 200%가 넘는 1,770억유로의 손실을 볼 것으로 우려된다고 분석했다. 또 포르투갈과 아일랜드에 대한 추가 지원(3,800억유로) 및 스페인ㆍ이탈리아에 대한 구제금융(3,500억유로)도 불가피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유럽 은행의 자본 보강에도 1,600억유로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