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위안 직거래는 정부도 필요성을 인정하는 사안이다. 기획재정부는 지난달 발표한 '경제혁신3개년계획'에서 원·위안 직거래시장 기반 조성을 과제로 제시했으며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도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원·위안 직거래시장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었다.
조 연구위원은 과거 원·엔 직거래시장 조성이 유동성 부족에 따른 매입·매도 스프레드 확대로 실패한 사례를 교훈으로 삼아 시장 조성과 정책 유인 제공으로 '마중물'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한중 금융기관의 해외 공동진출, 양국 금융기관의 상호진출 확대, 양국 정책당국 간 협의 채널과 민간 네트워크 구축 등이 금융 분야의 협력과제"라고 말했다.
이어 한중 양국은 경제 규모나 무역량에 견줘 자국의 외환시장이 왜소한 만큼 금융통합에 버금가는 협력체제를 만들어 자국 통화의 국제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다만 양국의 금융통합은 시장의 동조화에 따른 리스크 전이 위험이 있고 투기성 자금 유출입과 '차이나 머니' 유입에 대한 양국의 경계감이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인젠펑 중국 사회과학원 금융연구소장은 기조연설에서 "중국은 경상수지가 지속적인 흑자 기조여서 위안화의 지속적인 대량유출이 이뤄지지 않는다"며 위안화 국제화를 위해서는 중국의 경제발전 모델이 바뀌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자본수지에서도 위안화가 재유입될 수 있는 성숙한 자본시장이 만들어져야 한다"며 "특히 채권시장이 이를 흡수할 수 있도록 자본시장의 개방이 필요하고 이에 맞춰 국내 금융개혁과 환율 형성 메커니즘의 개혁이 전제돼야 한다"고 말했다. /박윤선기자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