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친박근혜계 새누리당 의원들이 유승민 원내대표의 사퇴 시점으로 지목한 6일이 다가오면서 유 원내대표의 ‘입’에 시선이 쏠리고 있다. 국회법 거부권으로 촉발된 유 원내대표의 책임론으로 당내 내홍이 진정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유승민 자진사퇴의 기점이 된 국회법 개정안이 6일 재의에 부쳐진다. 정치권에서는 새누리당이 표결에 불참해 국회법이 자동폐기되면서 유 원내대표가 책임을 지고 ‘명예로운 퇴진’을 하는 수순을 전망했다.
친박계에서는 유 원내대표의 자진사퇴를 거듭 주장했다.
한 친박계 의원은 서울경제와의 통화에서 “6일 본회의에서 국회법을 부결시킨 뒤 유 원내대표가 물러나는 게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정작 유승민 원내대표는 침묵하고 있다. 유 원내대표는 5일 지역구인 대구에서 올라와 서울역에서 기자들과 만나 “그 문제(원내대표직의 자진 사퇴)는 답변드리지 않겠다”고 말했다. 새누리당 당직자 역시 “유 원내대표가 내일(6일) 그만둘 것으로 보이지 않고 사퇴 시점을 밝히는 방식도 쓰지 않을 것 같다”고 전했다.
당장 유 원내대표가 사퇴를 안 할 경우 당내 갈등이 폭발할 수 있다.
친박계에서는 유 원내대표가 6일 사퇴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해 일찍이 집단 움직임을 예고했다. 김태흠 새누리당 의원은 당 소속 16명 의원으로부터 의원총회 소집요구 신청서를 받았다. 수적으로 친박이 열세지만 의원총회를 열어 ‘유승민 사퇴론’ 논쟁에 종지부를 찍고자 할 수 있다. 이 경우 유 원내대표를 넘어 화살이 김무성 대표로 향할 수도 있어 주목된다.
유 원내대표가 사퇴를 표명하더라도 국회법 거부권을 촉발된 당내 계파 갈등의 여진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당장 후임 원내대표 자리를 놓고 친박 대 비박이 부딪칠 소지가 있기 때문이다.
중립으로 분류된 새누리당 한 초선 의원은 “지금 상황에서 최경환 경제부총리가 국회로 일찍 복귀한다고 해도 원내대표에 될 것 같으냐”며 “그렇다고 딱히 비박계에서 나올 만한 얼굴이 지금 없다”고 했다.
여기에 충청권 의원들까지 가세하면서 차기 원내대표 자리를 놓고 갈등이 복잡해질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한 충청권 의원은 “이완구 전 국무총리가 힘을 잃은 상황에서 충청 출신 의원들이 후임 원내대표이자 ‘포스트 이완구’ ‘충청 맹주’를 만들려는 움직임이 가시화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김지영 기자 jikim@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