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리그 오브 레전드, 7월 3주차 경기일정표


리그 오브 레전드의 열기는 쏟아지는 비도 막지 못한다.

‘리그 오브 레전드’(이하 LOL) 프로리그 7월 3주차가 시작 되었다. 이번주도 역시 LOL '챔피언스 섬머'(이하 챔스)와 'NLB 섬머 골드리그'(이하 NLB)가 모두 치러진다.

16일에는 ‘CTU Revolt’ (이하 CTU)와 ‘Sirius Altair’(이하 Sirius)간의 NLB경기가 18시 30분에 있다. CTU에서는 아랑 로, 핀치, 송진리, 하리하링, 만날운명 선수가 출전한다. Sirius는 LoRO, Winged, Emboob, inforyou, Miracle 이 나온다. 양팀 모두 공식 전에서의 전적은 없지만 LOL 팬들은 CTU의 승리를 예측하고 있다.

17일에는 LOL 챔스 A조 4경기, B조 4경기가 이어서 열린다. 19시부터 용산e스포츠스타디움에서 열리는 17일 경기는 볼거리가 풍성하다.

우선 A조 4경기는 ‘Xenics Blast’(이하 블라스트)와 ‘Xenics Storm’(이하 스톰)의 대결이다. 이번 경기는 형제 팀인 양팀간의 공식 전에서 첫 경기라 LOL팬들의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블라스트는 Stark(박민석), Quality(허원석), ManyReason(김승민), Bang(배준식), Boink(최선호)선수가 출전한다. 스톰은 Ragan(임경현), Daydream(강경민), Coco(신진영), Arrow(노동현), Comet(임혜성)이 나온다. A조 4경기는 양팀의 미드라이너 ManyReason, Coco 두 선수가 경기 핵심선수로 예상된다. 현재 LOL 팬들은 제닉스 가문의 첫 형제 대결에 대해 스톰의 승리를 예상 하고 있다.

이어지는 19시 30분 B조 4경기는 ‘CJ Entus Blaze’(이하 블레이즈)와 ‘Najin Black Sword’(이하 소드)의 경기다. 두 팀 모두 한국 LOL을 대표하는 팀이기에 굉장한 경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양팀은 최근 전적은 5월 4일 LOL 챔스 스프링 A조 예선에서 만났다. 블레이즈가 소드를 상대로 2:0으로 승리했다. 이번 경기에서는 소드가 복수를 할지 블레이즈가 우위를 이어나갈지 주목된다. 블레이즈는 Flame(이호종), Helios(신동진), Ambition(강찬용), Cpt Jack(강형우), Lustboy(함장식)선수가 나온다. 소드에서는 Expession(구본택), Watch(조재걸), SSONG(김상수), PraY(김종인), Cain(장누리)가 출전한다. 두 팀 모두 지난 시즌 LOL챔스 멤버와 큰 변화 없기 때문에 안정감 있는 플레이를 펼칠 것으로 보인다. B조 4경기는 현재 무승부가 예상되고 있다.

18일에는 ‘Team Positive’와 ‘Must Study Hard’의 NLB 경기가 18시 30분부터 있다. 상대적으로 LOL팬들에게 알려져 있지 않은 팀이기에 어느 팀이 경기에서 승리할지 예측하기 힘들다.

19일은 LOL챔스 C조 4경기, D조 4경기가 있다. 19시부터 용산 e스포츠 스타디움에서 열린다. C조 4경기는 ‘LG-IM #2’(이하 LG와) ‘MVP BLUE’(이하 블루)의 대결이다. LOL리그에서 늘 준수한 경기력을 펼치던 팀인 만큼 이번 경기도 수준 높은 경기운영을 보여줄 것으로 보인다. 두 팀은 최근 지난 5월 11일 NLB 플레티넘 8강 경기에서 맞붙었다. 결과는 LG의 2:1 승리였다. 이번 경기에 LG에서는 Sylph(이재하), Lilac(전호진), kurO(이서행), Scarlet(정재호), BBuing(이인용)선수가 출전한다. 블루는 Cheonju(최천주), CNyang(이관형), EzHoon(이지훈), Deft(김혁규), FLahm(김주호)가 나온다. 두 팀 모두 지난 LOL 챔스 경기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이에 이번 경기에서 분위기 쇄신을 위해 양팀모두 전력 투구 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LOL 팬들은 무승부를 예상하고 있다.

이어 D조 4경기는 ‘CJ Entus Frost’(이하 프로스트)와 ‘KT Bullets’(이하 KT)의 대결이다. 지난 LOL 챔스 시즌 환상적인 경기력을 뽐낸 프로스트와 새 시즌을 맞아 팀 명을 바꾼 KT의 대결이다. 두 팀은 지난 LOL 챔스 B조 예선에서 맞붙은 전력이 있다. 결과는 프로스트의 2:0완승 이었다. LOL 팬들은 이번 경기에 대해 지난 경기와 마찬가지로 프로스트의 승리를 당연시 하는 분위기이지만 KT의 최근 경기력도 좋기 때문에 프로스트도 안심할 순 없다. 프로스트에서는 Shy(박상면), CloudTemplar(이현우), RapidStar(정민성), Space(선호산), MadLife(홍민기)선수가 출전한다. KT에서는 inSec(최인석), KaKAO(이병권), Ryu(유상욱), Score(고동빈), Mafa(원상연)선수가 출전한다. 이번 경기는 탑, 봇듀오의 역량에 따라 경기 흐름이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



20일은 LOL 챔스 A조 5경기, B조 5경기가 있다. A조 5경기는 ‘Xenics Storm’(이하 스톰)과 지난 시즌 LOL챔스 우승팀 ‘MVP Ozone’(이하 MVP)의 대결이다. 양팀은 2013년 들어 공식전에서는 맞붙은 적이 없기 때문에 이번 경기가 사실상 첫 경기다. 스톰에서는 Ragan(임경현), Daydream(강경민), Coco(신진영), Arrow(노동현), Comet(임혜성)선수가 출전한다. MVP에서는 지난 LOL 챔스 시즌과 같은 팀 멤버로 Homme(윤성영), DanDy(최인규), dade(배어진), imp(구승빈), Mata(조세형)선수가 나온다. 이번 경기에 대해 대다수의 팬들은 MVP의 가벼운 승리를 예상하고 있다. MVP가 지난 시즌 상승세를 이번 LOL 챔스에서도 이어 가고 있기 때문이다. 스톰이 MVP소속의 imp, Mata 선수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봉쇄 하느냐에 따라 이변이 펼쳐질 수도 있다.

이어 펼쳐지는 경기는 B조 5경기 ‘Jin Air Stealth’(구 훈수좋은날, 이하 스텔스)과 ‘Najin Black Sword’(이하 소드)의 대결이다. 두 팀은 올해 정규 경기에서 맡붙은 적이 없다. 한편 최근 소드가 좋은 경기에서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LOL팬들은 소드의 승리를 예상 하고 있다. 소드에서는 Expession(구본택), Watch(조재걸), SSONG(김상수), PraY(김종인), Cain(장누리)선수가 출전한다. 스텔스에서는 TrAce(여창동), ActScene(연형모), HooN(김남훈), LOAD(채승엽), IceBear(권지민)선수가 나온다. 탑과 정글에서 공방전이 오갈 것으로 보인다.

총 상금 2억 7,000만원이 걸린 LOL 챔스 17일, 19일, 20일 경기는 오후 7시부터 용산 e스포츠 스타디움에서 열린다. 경기는 온게임넷, tving을 통해 생방송과 다시 보기가 가능하다. 풀 리그 매 경기는 두 세트로 진행되며, 두 세트를 모두 승리하면 3점, 세트 스코어 1대 1이면 승점 1점을 얻는 '홈 앤 어웨이(Home & Away)' 방식이다. 풀 리그 종료 이 후 각 조 상위 2개 팀이 8강에 진출하며, 승점 동률인 팀이 나올 경우 재경기를 별도로 진행한다.

한편 이번 LOL 챔스는 대회 방식이 변했다. 지난 시즌 2개조 6개 팀이 12강을 치렀던 방식에서, 스타리그를 통해 e스포츠 팬들에게 익숙한 16강 4개조 풀 리그 방식으로 변경되어 진행된다. 4개조 풀 리그(Full League) 방식으로 개편됨에 따라 8강 이전에 상대해야 하는 팀이 팀 당 5개에서 3개로 줄었다. 풀 리그 매 경기는 두 세트로 진행되며, 두 세트를 모두 승리하면 3점, 세트 스코어 1대 1이면 승점 1점을 얻는 '홈 앤 어웨이(Home & Away)' 방식이다. 풀 리그 종료 이 후 각 조 상위 2개 팀이 8강에 진출하며, 승점 동률인 팀이 나올 경우 재경기를 별도로 진행한다.

이어 총 상금 2,000만원 규모의 NLB는 지난 시즌과 마찬가지로 LOL 챔스와 연계 시스템이 적용된다. 예선을 통해 가려진 팀들이 16강을 펼치고 이후 12강과 8강에서 챔스 섬머 12개 팀이 합류해 총 28개의 팀이 약 2개월 동안 열띤 경쟁을 펼치게 된다. 역대 최다 팀이 출전해 경쟁을 펼치는 만큼 여느 때보다 많은 명승부가 연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NLB경기는 16일, 18일 오후 6시 30분부터 나이스게임tv, 유스트림, 아프리카TV, 네이버를 통해 시청 할 수 있다.

LOL은 독특한 전장과 지형에서 벌어지는 상대팀과의 숨막히는 전투에서 승리를 쟁취하기 위해 치열한 전략을 겨루는 MOBA(Multiplayer Online Battle Arena) 게임이다. LOL은 롤 플레잉과 전략 게임의 요소를 조화롭게 접목시키고 전투 액션을 가미한 게임이다. 접근성이 뛰어나고 지루함이 없이 게임을 지속적으로 즐길 수 있으며 기존 게임에서 느끼지 못한 무한한 경쟁적 대결구도를 통해 게이머들이 게임의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게 해 준다. LOL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110여 개가 넘는 챔피언 캐릭터인데, 각각의 독특한 능력과 특성을 가진 챔피언을 어떻게 선택하느냐에 따라 지속적인 재미와 다양한 전략 구사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게이머는 롤 플레잉 게임의 장점과 빠른 템포의 전략 액션 게임 플레이가 가미된 20-40분 간의 게임 플레이 과정을 거치며 캐릭터의 아이템과 스킬을 획득해 나갈 수 있다. 또한 LOL은 독특한 스타일로 제작되어 게임의 배경이 되는 발로란 세상과 그 안에 살아 숨쉬는 풍부하고 다양한 챔피언 캐릭터를 즐길 수 있다. LOL에 대한 보다 많은 정보는 공식 홈페이지 www.leagueoflegends.co.kr에서 확인 가능하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